유망 중소 장비업체를 지원하기 위해 최대 5천억원 규모로 조성하는 '수급기업 투자펀드'투자대상이 전 업종으로 확대된다. 또 수급기업 투자펀드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발행하는 자산담보부증권(CBO)을 보증하는 기관이 당초 정했던 신용보증기금과 기술신용보증기금에서 중소기업진흥공단으로 바뀐다. 산업자원부 관계자는 23일 "특정 업종에 대한 투자펀드 지원이 세계무역기구(WTO)규정에 위반될 수 있다는 정부내 이견이 나와 지원대상을 전 업종으로 확대키로 했다"고 밝혔다. 정부는 당초 반도체·디스플레이 업종에 대해서만 자금을 지원할 예정이었나 방침을 바꿔 자동차 조선 철강 등에 대해서도 지원하기로 했다. 정부는 수급기업 투자펀드 규모를 3천억∼5천억원으로 정하고 반도체 업종을 시작으로 내년 3월까지 수급기업 투자펀드를 출범시킬 방침이다. 수급기업 투자펀드는 중소 장비업체들이 거래하는 대기업과 일정한 조건 아래 납품을 보장받는 협력양해각서(MOU)를 체결한 뒤 신주인수권부사채(BW)를 발행하면 이를 담보로 CBO를 발행,일반투자가와 대기업 등에 판매해 자금을 조달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이정호 기자 dolp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