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부장들은 정부가 프랜차이즈 시장에 큰 도움을 줄 것이라고 기대하지는 않았다. 본사든,가맹점이든 사기업 영역이어서 기본적으로 정부 지원이 힘들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프랜차이즈 산업의 고용창출 능력 등을 감안할 때 물류센터 등 산업 인프라를 구축하는데 드는 최소한의 비용은 지원할 필요가 있지 않느냐고 입을 모았다. 가맹점들이 점포당 4∼5명의 종업원들을 쓰고 있어 어느 업종보다 고용창출 기여도가 적지 않다는 주장이다. 신우승 이사는 "정부가 창업시장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은 창업자금대출이나 산업인프라 구축자금 지원 등인데 자금 규모가 미흡한 것도 문제지만 공평하게 돌아가지 않는게 더 큰 문제"라고 지적했다. "프랜차이즈협회 차원에서 정부 지원을 받아 배분하지만 업종이나 업체별로 편중돼 있다는 지적이 많다"고 다른 본부장들이 거들었다. 이호종 부사장은 프랜차이즈 시장에 신경쓰는 정부를 기대하기는 무리라면서 미국의 예를 들었다. "클린턴정부때 대통령직속으로 만든 스몰비즈니스 지원기구가 수 많은 창업자들에게 실질적인 혜택을 주어 신경제의 원동력이 됐던 사례가 있다"며 대통령이 직접 챙겨야 한다고 말했다. 대통령이 챙기는 프로젝트가 아니면 공무원들의 생색내기에 그치고 말 것이라고 그는 강조했다. 이진로 본부장은 "프랜차이즈 시장에서 연간 40조원 이상의 부가 창출되는 만큼 정부지원 명분은 충분하다"며 "과거 정부때 벤처지원 자금을 둘러싸고 수많은 비리가 잉태된 전철을 밟지 않도록 제도와 선정기구를 만드는게 시급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