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의 평균수명이 2002년 현재 77세로 11년 전보다 5.28세 늘어났다는 통계청의 발표는 일단 반가운 일이 아닐수 없다. 평균수명이 선진국들인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회원국들과 엇비슷해졌다는 것으로 국민들의 영양상태나 보건의료수준, 건강에 대한 관심 등이 선진국형으로 자리잡았다고 보여지기 때문이다. 하지만 최근의 낮은 출산율을 보면 수명 연장을 무작정 좋아할 수는 없는 것 같다. 가임여성(15∼49세)의 평균출생수인 합계출산율은 지난해 1.19명으로,인구의 현상유지에 필요한 2.1명은 물론 OECD 수준인 1.6∼1.7명에도 훨씬 못미친다. 노인인구 증가와 출산율 저하에 따른 경제활동인구 감소는 기업가정신 쇠퇴와 함께 성장잠재력을 악화시키는 직접적인 요인이라는 점에서 이만저만한 걱정이 아니다. 실제 오는 2017년부터 생산가능인구(15∼64세)가 줄어들기 시작할 것이라고 한다. 이미 삼성경제연구소가 고령화 추세로 인해 한국의 잠재성장률이 5%에서 4%로 하락했다고 진단하는 등 각종 경고가 잇따르고 있을 정도이다. 한창 일할 나이의 청·장년층이 줄어들고, 노인인구가 늘어나는 사회는 활력을 잃고 쇠퇴의 길을 갈 수밖에 없다. 일하고 세금내고 군대가는 사람은 줄고,연금생활자나 의료보조를 받는 사람만 늘면 국가재정은 머지않아 고갈되고,경제규모도 축소될 것이 자명한 탓이다. 정부는 인구감소를 막기 위해 우리에게 남은 시간이 불과 15년 남짓이라는 점에서,이 문제를 최우선 과제로 삼고 대응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출산을 늘리기 위해 한두푼 장려금을 주는 정도가 아니라 여성이 육아와 취업을 원활히 할수 있도록 각종 경제적인 지원은 물론 교육제도개편 등 보다 과감하고 근본적인 대책을 찾아야 한다. 불가피한 인구구성 변화에 따라 산업구조 등 사회시스템 전반을 재정비하는 작업도 병행해야 할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