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2006.04.02 14:06
수정2006.04.02 14:08
< 김칠두 한국산업단지공단 이사장 >
'클러스터 없이는 미래가 없다'고 할 정도로 세계는 지금 지역혁신체제 구축과 산업클러스터화에 매진하고 있다.
클러스터에 매달리는 선진국을 보면 결국 비교우위에 따른 제조업 공동화 현상에 대한 대안으로 새로운 산업적 성장동력을 구축해 국가경쟁력을 확보하자는 공통점을 보이고 있다.
미국의 경우 제조업 공동화는 1960년대부터 시작됐으나 70년대 들어 캘리포니아 사막지대에 스탠퍼드대학을 중심으로 한 실리콘밸리를 형성,세계 최대 규모의 IT(정보기술)산업 집적지를 만들었으며 IBM 인텔 등 세계적인 기업들도 키워냈다.
일본도 제조업 해외 이전으로 국가 성장동력이 상실될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되던 80년대부터 도요타 등 주요 기업들을 중심으로 클러스터를 형성하는 데 주력하고 있으며 지금도 국가적인 과제로 추진하고 있다.
프랑스나 독일 등 유럽도 역시 마찬가지다.
우리 경제도 1960년대 이후의 숨가쁜 개발연대에 이어 구조고도화의 80년대를 지나자 90년대부터는 기업 확장이나 증설 등으로 해외이전이 본격화되면서 제조업 공동화 문제가 대두되기 시작했다.
특히 제조업의 대표 집적지인 기존의 산업단지 중심의 성장체제로는 1만달러를 넘어서는 국민소득 향상과 새로운 성장동력 확보를 기대하기 힘든 시점이다.
이것이 바로 혁신클러스터가 절실한 이유다.
역량 있는 민간 연구기관과 대학의 기술 및 인력을 밖으로 끌어내고 기업이 이를 적극 활용하는 네트워크를 구축해 다양한 혁신효과를 창출해야 한다.
이런 혁신을 우리 경제의 가장 큰 생산인프라인 산업단지를 중심으로 하자는 것이 바로 '산업단지 혁신클러스터화'다.
우리 경제는 이른바 '요소투입형' 양적 성장으로 산업단지 중심으로 발전해 온 특성을 지니고 있다.
산업단지는 우리나라 제조업 생산의 절반이나 차지하고 수출 71%,고용 37%를 담당하고 있다.
그렇지만 국내 주요 산업단지들은 대부분 조성된 지 상당시간이 경과돼 단지 내 인프라가 노후화됐다.
특히 도로,물류,주차 등 인프라가 제때 재정비되지 못하면서 단지 경쟁력을 높이지 못하고 있다.
최근 신행정수도 건설이 어려워짐에 따라 앞으로 지역혁신체제 구축을 통한 국가균형발전의 핵심 대상으로 산업단지에 대한 관심이 더욱 커질 것으로 보인다.
산업단지야말로 국가 및 지역경제의 혁신을 선도할 핵심거점이라는 인식에서다.
우리 경제를 혁신주도형 경제로 전환시키는 선두주자로써 얼마 전 전국 7개 산업단지를 '혁신클러스터 시범단지'로 지정한 것은 소중한 정책과제로 볼 수 있다.
산업단지를 빼놓고 국민소득 2만달러 진입을 논할 수 없다는 '산업단지 르네상스'의 첫 걸음을 내디딘 것이다.
산업단지가 혁신클러스터로 재탄생하기 위해서는 생산과 연구기능의 결합이나 산·학·연의 네트워크 구축 등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다.
실리콘밸리 등 선진사례를 뛰어넘는 가장 한국적이면서도 세계적인 한국형 클러스터로 발돋움하자면 가로놓인 정책과제에 산·학·연·관의 모든 지혜를 모아야겠다.
최근 부산에서 처음 열린 '대한민국 지역혁신박람회'도 이런 가능성을 타진하기 위한 자리였다.
전남 보성녹차,포항공대의 산학협력시스템,서울디지털산업단지의 첨단화사업 등 분야별로 지역적 특성을 살린 성공사례들을 찾아내 확산시키려는 행사였다.
이를 통해 새로운 성장산업을 집적시키고,관련대학과 연구기관을 모으는 시너지 효과를 창출토록 함으로써 지역혁신의 밑그림이 그려지는 것이다.
이같은 지역혁신 축제가 부산에서 처음 열린 것도 뜻깊은 일이다.
부산은 대표적인 항만물류도시지만 70년대 이후 경제활력은 급격히 떨어지고 있다.
아직도 지역경제를 이끌 뚜렷한 주력산업이 부재한 실정이다.
부산이 이번 행사를 계기로 해양과 대륙을 잇는 '역동적인 부산'으로 발전하고 '지역혁신 새바람(革風)'의 발원지가 되길 기대한다.
cdkim@esandan.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