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처기업 활성화를 위한 종합대책이 연내에 발표될 전망입니다. 이를 위해 정부는 금융과 세제지원, 코스닥시장 활성화와 제 3시장 활성화 방안 등을 포함한 대책을 올해안에 발표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정부는 이헌재 부총리겸 재정경제부 장관 주재로 산자. 정통부 장관과 산은총재 등과 벤처업계 관계자들고 오찬 간담회를 개최했습니다. 이 부총리는 "장마비 다 젖은 다음에 불지피는 것 같은 느낌"이라며 "불쏘시개로는 안돼고 석유를 뿌려 불을 지르는 등 특단의 조치를 해야한다"고 말했습니다. 이 부총리가 벤처 관계자들과 간담회를 갖은 것은 지난 2000년 3월 이후 4년만의 일로써 3시간 넘는 회의가 진행됐습니다. 오늘 자리에는 "코스닥시장이 활성화"가 벤쳐 활성화의 대전제라는 목소리가 가장 높았던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김석동 재정경제부 금융정책국장은 회의 이후 갖은 브리핑에서 "통합증권거래소에 코스닥사업본부가 있는데 증권거래소와 차별화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는 목소리가 높았다"고 말했습니다. 이에대해 이 부총리는 "코스닥시장을 차별화된 시장으로 할 것"이며 "편향된 시장이 되는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할 것"이라고 답변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또 다산다사(多産多死)가 많은 특징을 살린 코스닥시장은 시장의 진입과 자격유지제도의 개선. 그리고 퇴출의 강화 등으로 신뢰확보의 계기를 만들어야 한다는 지적도 있었습니다. 오늘 참석한 벤쳐 관계자들은 또 대기업과의 공정거래 제도에 가장 고통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김 국장은 "대기업의 거래관계에 있어 사례제시를 하면서 불공정거래 등으로 인한 어려움을 호소한 경우가 많았다"며 "공공기관이 발주한 경우 관행이 여전히 있다는 지적이 많았다"고 말했습니다. 벤쳐의 특성을 살려 쉽게 생기고 쉽게 망하는 대신 한번 실패한 기업가가 패자부활이 가능해야 한다는 지적도 있었습니다. 이를 위해 신보와 기보에서 인적보증제도가 개선돼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됐습니다. 이밖에 증권거래소와의 역차별문제가 지적됐는데요. 거래소에 비해 낮은 가격제한폭(12%), 또 대주주 매각제한(Lock-up:주식을 팔 수 없는 기간)을 거래소는 6개월인데 반해 코스닥 2년인 점 등이 시장의 활성화를 제약하고 있다는 지적이 있었습니다. M&A시장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신보와 기보가 금융기관의 채무재조정이 필요하며 기술거래소 육성과 양도세 과세를 이연하는 등의 해결방안이 필요하다고 제시했습니다. 벤쳐캐피탈 문제와 관련, 벤쳐펀드의 만기가 다가오고 있는데 효율적인 연장이 필요하다는 목소리와 함께 벤쳐캐피탈도 경영권 참여를 허용해야 한다는 지적도 건의됐습니다. R&D지원을 위한 금리인하, 전자상거래 활성화를 위안 인증제, 부가세 등의 문제. 2007년 시한인 벤쳐기업특별법의 연장 등도 지적됐습니다. 또 상대적으로 열악한 여성벤쳐(대략 100만개)를 위해 P-CBO 지원을 해달라는 목소리도 있었습니다. 회의에 참석했던 진대제 정보통신부 장관과 이희범 산업자원부 장관 등은 "벤쳐기업 활성화를 위해 모든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습니다. 이 부총리는 정리발언을 통해 "내년은 중소 벤쳐업계의 원년이 될 것"이라며 "업계와 힘을 합쳐 살려나가자"고 말했습니다. 특히 "벤쳐사회를 보는 눈이 기대만큼 곱지 않다"며 "이번에 활용을 못하면 경제 활력에 어려움이 초래될 것이라 무거운 책임감을 느낀다"며 벤쳐 활성화의 계기를 만들겠다고 강조했습니다. 연사숙기자 sa-sook@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