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8월 중 콜금리 인하에도 불구하고 기업 대출은 오히려 감소세로 반전됐다. 또 예금금리가 떨어진 은행에서 투신사로 이동한 자금이 3조9천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됐다. 한국은행이 8일 발표한 '8월 중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은행들의 기업대출은 지난 7월 2조6천4백98억원 증가했으나 지난달에는 오히려 3천7백억원 감소했다. 대기업 대출은 2천4백17억원 증가했지만 중소기업 대출이 6천2백억원 줄었다. 또 기업의 회사채 발행도 7월 1조2천억원 순상환(상환액이 발행액보다 많은 상태)을 기록한 데 이어 지난달에도 순상환액이 1조7천억원에 이르렀다. 금리가 인하됐지만 기업들이 투자를 늘리기보다는 여전히 채무 상환에 더 치중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반해 가계대출은 휴가비와 학자금 대출수요 등 계절적인 요인으로 3조4백13억원 증가했다. 이는 올 들어 월별 증가액으론 가장 큰 규모다. 가계대출 가운데 주택담보대출이 1조1천1백99억원 늘었고 마이너스통장 대출 증가액도 2조원에 달해 전월(4천억원)보다 증가폭이 크게 확대됐다. 한편 지난달 은행 예금에서 3조9천4백억원이 이탈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요구불예금(2조2천4백억원)과 수시입출금식예금(3조3천억원)이 많이 빠져나간 데 따른 것이다. 은행들이 금리인하에 따른 자금이탈을 막기 위해 특판예금(이자를 더 주는 상품)을 판매하면서 정기예금은 2조7천6백억원 늘어 4개월 만에 증가세를 보였다. 은행에서 빠져나온 자금은 대부분 투신사로 유입돼 투신사 수신고는 지난달 3조8천9백억원이 증가했다. 콜금리 인하로 은행 예금금리가 떨어지자 채권에 투자하는 투신 상품으로 돈이 몰린 것으로 보인다. 김용준 기자 juny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