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우리당이 24일 노사정 대타협을 위한 범사회적기구 구성을 적극 추진키로 하는 등 최근 정치권에서 `노사정 대타협'에 대한논의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데 대해 노동계는 대체로 실현 가능성과 실효성 등에회의적인 반응이다.

한국노총의 한 관계자는 "여야가 거론하는 `노사정 대타협'의 의도와 내용 자체가 명확하지 않다"며 "그러나 일단 노동자의 임금 동결과 파업 억제 등을 염두에 둔대타협 추진이라면 받아들이기 어렵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또 "기존 노사정위원회를 불신하는 이유중 하나가 합의사항이 제대로 이행되지 않았다는 것인 데 새로운 기구를 만든다고 대타협이 이뤄지겠느냐"면서"이 보다 노사정위의 위상과 기능 강화, 예산 및 인력 독립, 합의사항에 대한 철저한 이행담보 등의 방안을 통해 대타협을 이뤄나가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말했다.

한 노동계 인사도 "여야가 노사관계 안정과 경제 회복 등을 위한 방안을 모색한다는 것은 바람직하다"면서 "그러나 노사정 대타협을 위해서는 의도 자체가 순수하고 인식을 공유해야 하며, 기존 노사정위와의 관계설정 부분과 논의 의제 등도 명확히 해야 하는 데 아직까지 그렇지 못한 것 같다"고 평가했다.

다른 노동계 관계자도 "여야가 `경제 살리기' 해법의 하나로 노사정 대타협, 즉노사관계 안정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으로 생각된다"며 "그러나 기존에 노사정위가있고 노사정 대표가 회의를 구성, 노사정위 개편방안을 논의하고 있는 상태에서 또다른 기구를 만드는 것은 불합리적"이라며 실효성에 의문을 제기했다.

한편 민주노총은 최근 지하철 노조 등에 대한 직권중재 결정 등을 이유로 지난6일 개최할 예정이었다 연기한 노사정 대표자회의 3차회의 등을 놓고 25일 중앙집행위원회의 등을 거쳐 재개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서울=연합뉴스) 김인철 기자 aupf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