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정부계의 한 싱크탱크가 북한이 중.미관계개선을 방해하고 있으며 국내적으로는 대대적 정치박해를 저지르고 있다고 신랄히 비판하면서 중국은 북한을 전면지원할 책임이 없다고 주장했다.

20일 요미우리(讀賣) 신문에 따르면 전략문제전문지인 '전략과 관리' 최신호에실린 '새로운 시점 으로 북한문제와 동북아 정세를 면밀히 관찰한다'는 제목의 논문은 북한의 세습체제와 핵개발, 중국에의 비협조 등을 조목조목 비판한 뒤 중국의 국익에 부합하는 새로운 외교정책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중국 정부계 싱크탱크인 톈진(天津)사회과학연구원 대외경제연구소측이 집필한이 논문은 최근 북한체제와 관련 "자연재해로 인민의 생활은 최악에 달했지만 (김정일 총서기는) 가족 세습통치를 유지하기 위해 극좌정치와 정치박해를 대대적으로 저지르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 양국 관계에 대해 "북한은 중국의 정치적 지지와 경제지원에 대해 조금도 감사를 표하지 않는다" "국제문제에서 늘 우호를 무시하면서 가장 중요한 때는 우리를전면지원하지 않는다"고 지적하며 "이런 국가를 우리가 전면 지지할 도의적 책임은없다"고 강조했다.

논문은 미.중 관계를 거론하면서 "북한의 무책임한 행동 때문에 중미관계의 개선이 방해받고 있다"며 "중요한 시기에 큰 논쟁을 태연하게 일으켜 중국을 미국과대항케하는 수세적 입장으로 끌어들인다"고 비난했다.

논문은 "이러한 수법에는 악랄한 음모가 있다"며 "경계심을 갖고 막지않으면 안된다"고 주장했다.

논문은 북한의 핵개발을 "국제사회에 대한 멸시와 도전"이라며 "중국은 한반도의 비핵화를 계속 주장하고 미국과 국제사회를 지지, 한반도 문제를 평화적으로 해결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특히 중국의 향후 외교방향에 대해 "새로운 이념을 갖고 동북아시아의 정세를다시 살펴 중국의 근본 국익에 합치하는 외교정책을 취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신문은 중국 정부정책에 영향을 미치는 싱크탱크의 이같은 북한 비판은 매우 이례적인 것으로 최근 북핵 6자회담 개최협상이 난항을 겪으면서 북한의 '경직된' 자세에 대한 중국 정부의 불신감이 높아지고 있음을 반영한 것으로 해석했다.

(도쿄=연합뉴스) 신지홍 특파원 shi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