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정부는 자국 기업이 한국의 자동차나 화공 또는 통신장비 및 PC 부문에 투자할 때 자금 외환 세제 통관 출입국 등 각 부문에서 우대 정책을 취하기로 했다.

중국 상무부와 외교부는 이같은 내용을 담은 "대외투자 국가별 산업 지도 목록"을 지난 21일 공동으로 발표했다.

이같은 조치는 상하이자동차가 쌍용자동차 인수를 추진 중이고,시노켐이 인천정유 매입 양해각서(MOU)를 체결한 상태에 나온 것이어서 주목된다.

이번 지침은 해외투자에 대한 중국 정부의 첫 가이드 라인이라고 중국 언론들은 전했다.

중국이 외국인 직접투자(FDI)의 '큰 손'으로 부상할 만큼 해외투자 규모가 급증하고 있는 것도 그 배경이다.

중국 기업(금융 제외)은 올 들어 5월까지 전년 동기에 비해 40.6% 증가한 7억6천만달러를 해외에 투자했다.

최근 들어선 인수합병(M&A)을 통한 해외투자도 늘어나고 있다.

중국의 해외국가별 투자 지침은 중국이 세계 각국의 풍부한 자연자원은 물론 우수한 기술 및 경영자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전략을 드러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자동차 화공 통신분야 한국기업 노려=중국 정부가 발표한 투자지침은 농·임·목축업 수산업 광업 제조업 서비스업 등으로 업종을 세분화한 뒤 67개 대상국 별로 적합한 투자 업종을 구체적으로 적시하고 있다.

한국은 제조업에서 자동차 등 교통운수설비,화공원료,통신설비와 PC 등 전자설비가 꼽혔다.

서비스업종에서도 무역 영업 연구개발 건축 물류 등이 투자할 만한 대상으로 지정됐다.

미국에 대해서는 자동차부품 등 교통운수설비,가전기기,방직 및 의류,원예설비,전동공구 등이 투자가 유망한 제조분야로 꼽았다.

영국에 대해서는 생물제약과 PC를,독일에 대해서는 기계 의약,화학원료 및 제품,전자설비를 투자할 만한 제조업종으로 제시했다.

일본에 대해서는 전기기계 및 기기재료와 인쇄기계,사무용기기 등을 투자 적합 업종으로 권고했다.

북한에 대해서도 방직 및 의류와 식품제조를 유망 업종으로 제시해 눈길을 끌었다.

석유 등 원자재 부족을 반영하듯 이란 사우디아라비아 수단 알제리 등 석유 및 천연가스에 대해 투자할 만한 곳으로 꼽힌 국가도 적지 않았다.

?맹목적인 해외투자 방지=상무부는 "해외시장에서의 '묻지마 투자'를 사전방지하고 격심한 경쟁을 제한하는 한편 자원의 효과적 배분을 독려하기 위해 이번 가이드라인을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중국의 산업구조와 강점을 비롯해 투자 대상국의 경제구조 및 발전상황,투자환경 등을 감안했다는 것이다.

특히 해외투자 대상국가 선정에도 5개 원칙을 적용했다.

△우호 국가 △경제 상호보완성이 강한 국가 △주요 무역파트너 △전략적 동반자 관계인 국가 △세계 주요 경제국이라는 점이 그것이다.

이번 가이드라인 발표는 미국을 제치고 세계 최대의 외자유치국이 된 중국이 이젠 외자유치의 질을 따지기 시작한 데 이어 해외투자에서도 효율을 중시하기 시작했음을 보여준다.

상무부 관계자는 "중국의 산업발전 및 대외투자환경의 변화에 맞춰 이번 투자지침도 계속 바뀌고 보완될 것"이라고 말했다.

베이징=오광진 특파원 kjo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