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지역균형발전을 위해 충청권에 '수도'를 이전한다면 다른 지역에도 이에 상응하는 '배려'를 해야 한다."

정부의 수도이전 작업이 속도를 내면서 신수도에서 멀리 떨어진 영ㆍ호남 및 강원 지역들이 상대적인 소외감을 내세워 정부에 대해 반대급부(?)를 경쟁적으로 요구하고 있다.

이들 지방은 "행정수도 이전에 따른 지역발전 효과는 충청권과 전북 일원에 그칠 것이므로 이전효과가 미치지 못하거나 미미할 것으로 보이는 지역에 대한 배려가 당연히 있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같은 목소리는 최근 신행정수도 건설 공청회 등에서 나오기 시작했지만 앞으로 신수도건설이 본 궤도에 오를 경우 이른바 상대적인 소외지역에 대한 '정책배려' 요구는 커지게 마련이고 이는 정치ㆍ경제적으로 정부의 큰 부담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

이에 대해 국토균형발전위원회 김용문 혁신국장은 "부산은 해양ㆍ기계ㆍ영상IT, 광주ㆍ전남은 문화ㆍ물류, 강원은 관광ㆍ생명건강, 대구ㆍ경북은 연구개발(R&D)ㆍ섬유 등의 특화 산업육성 전략을 마련했다"고 밝히고 있지만 '수도'에 버금가는 기대심리를 충족시키기엔 설득력이 희박해 보인다.

특히 지역의 일부 전문가들은 "수도이전에 따른 지역발전 파급효과는 충청권과 전북일원, 충청권에 인접한 경북 및 강원 일부 지역에 국한되고 경남 전남 부산 대구 광주권역은 오히려 인구 및 산업성장 잠재력 등이 위축될 수 있다"며 "신수도에서 소외된 지방에 대한 특단의 대책이 별도로 마련돼야 한다"고 주장한다.

부산은 '해양수도'를 요구하고 나섰다.

김구현 부산시 부시장은 "현재로선 중부권의 행정수도 건설은 기존 수도권의 외연을 확장하는 바람직하지 못한 결과로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며 "이 경우 부산 경남권은 더욱 위축될 수도 있기 때문에 수도권의 경제수도, 충청권의 행정수도에 대응하는 '부산 해양수도' 육성을 위한 동남권 특별지원책이 동시에 마련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비(非)충청권의 균형발전을 위해 대덕연구단지 내 정부출연기관을 각 지역 전략산업에 맞게 이전하고 수도권 이외 자치단체에 토지이용 권한을 대폭 이관해 탄력적 개발을 유도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전남은 서남권을 동북아 경제중심지로 육성하기 위한 지원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를 위해 대기업 주도의 기업신도시 건설, 1백년 무상임대형 국제자유생산기지 등 획기적인 전략도 필요하다고 광주ㆍ전남발전연구원 이건철 기획연구실장은 지적했다.

그는 이어 다극화된 경제구조로의 재편성을 위해 대구∼부산∼광주를 잇는 동서화합형 삼각벨트, 광주∼대구∼대전 간 첨단산업 삼각벨트, 목포∼부산 남해안국제관광벨트 등의 구축을 제안했다.

강원도의 핵심지역인 춘천 및 강릉지역 주민들은 행정수도가 충남으로 이전하면 수도권에서 멀어지는 셈이므로 '발전잠재력 등에서 손실'을 입을지 모른다고 우려하고 있다.

이에 따라 "지리적 손실을 보상받을 수 있는 도로망 확충, 공공기관 이전, 접경지역 개발 등의 정부 지원이 절실하다"(김갑열 강원대 교수)는 주장이다.

김병각 춘천상공회의소 회장은 "강원도의 자생력을 키우기 위해 강원도개발특별법을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충청권 내부에서도 정부의 정책적 배려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이원종 충북지사는 행정수도 이전 최종 후보지에서 충북지역이 탈락하자 △충북을 공공기관 이전지역에 포함 △오송역을 호남고속철도 분기역으로 선정 △청주공항을 행정수도 관문으로 육성할 것 등을 잇따라 요청하고 있다.

김철수 기자 kcs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