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오전 전면 파업에 들어가는 서울 인천 부산 대구 등 4개 지역 지하철은 노사간 입장차가 워낙 커 타협점을 찾기가 쉽지않을 것이란 전망이다.

특히 서울지하철공사와 도시철도공사 등 서울지역 2개 사업장과 인천지하철공사에 대해 지방노동위원회가 20일 직권중재 결정을 내림에 따라 불법파업에 따른 물리적인 충돌까지 우려되고 있다.

직권중재에 회부되면 15일간 파업이 금지되지만 서울과 인천 지하철 노조는 21일 오전 4시를 기해 예정대로 파업에 들어가기로 했기 때문이다.

이 경우 파업은 불법으로 규정되고 사측이 공권력 투입 등을 요청할 수 있어 물리적 충돌도 발생할수 있다는 지적이다.

이처럼 파국으로 치닫고 있는 지하철 노사간 최대 쟁점은 인력 충원 문제.

노조는 주5일제 시행으로 근무시간이 줄어드는 만큼 추가적인 인력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실제 서울지하철공사(1∼4호선)의 경우 전체 인력의 30%에 해당하는 3천43명, 도시철공사(5∼8)는 전체의 49%에 달하는 3천2백5명의 충원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대해 회사측은 '말이 안된다'는 반응이다.

현재 수조원대의 누적 적자를 안고 있는 상황에서 무조건적인 인력 충원을 불가능하다는 입장이다.

서울지하철공사는 노조 요구대로 인력을 늘릴 경우 임금인상분까지 합쳐 연간 인건비만1천5백3억원이 추가로 들어가게 된다고 주장하고 있다.

특히 불합리한 점이 많은 지금의 근무형태를 개선한다면 인력충원 없이도 업무가 가능하다는 논리다.

따라서 노사가 공동으로 선정한 외부 전문기관에 연구용역을 의뢰, 적정한 필요인력을 상정하자고 회사측은 수정안을 제시했다.

휴일 및 휴가에 대해서도 의견을 좁히지 못하고 있다.

도시철도공사의 경우 노조측은 연간 휴일 1백23일과 월차휴가 12일 유지를 주장하고 있지만 회사측은 연간 휴일 1백17일, 월차휴가는 근로기준법에 따라 폐지하자는 요구하고 있다.

또 노조는 연차휴가는 현재 상태를 유지하고 생리휴가는 유급화하자는 반면 회사측은 연차휴가를 15∼25일로 줄이고 생리휴가를 무급화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임금(도시철도공사)은 노조의 총액대비 8.1% 인상안과 회사측의 3% 인상안이 맞서고 있다.

해고자 복직자 문제도 접점을 찾지 못하고 있다.

서울지방노동위원회 관계자는 "핵심 쟁점인 인력충원 문제에서 막히면서 다음 쟁점에 대한 논의를 거의 이뤄지지 못했다"고 전했다.

이에따라 10차례 이상의 자율 교섭에도 불구하고 인원충원 문제로 노사가 한발짝씩도 다가서지 못한 점을 비춰볼때 분쟁이 장기화될 가능성도 배제할수 없다고 전문가들은 내다보고 있다.

김철수 기자 kcs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