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인천 부산 대구 등 4개 지역 지하철노조가 21일 오전 4시부터 총파업에 돌입키로 함에 따라 최근 '버스대란'에 이은 '지하철대란'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특히 지난 1일 전면 개편한 대중교통체계가 겨우 자리를 잡은 서울의 경우 지하철파업으로 많은 승객이 한꺼번에 버스로 몰릴 경우 예상치 못한 교통대란을 빚을 수도 있다.

서울시와 각 지자체들은 비상 수송대책을 마련하고 있지만 지하철파업 사태가 장기화될 경우 시민들의 불편은 가중될 전망이다.

◆'버스대란'에 이어 '지하철대란'오나=4개 지역 지하철 노조의 파업으로 가장 큰 혼란을 겪을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은 서울 등 수도권이다.

지난 1일 시내 버스체계 및 노선개편으로 한 차례 혼란을 겪은데다 아직까지 새 시스템에 익숙하지 않은 시민들이 상당수 있어 교통대란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서울지역 지하철의 경우 수송분담률이 34.6%로 하루 평균 6백만명을 실어나르는 핵심 교통수단이어서 파장이 적지 않을 전망이다.

가장 큰 문제는 지하철 노조의 파업으로 열차 운행횟수가 평소보다 줄어들면서 출·퇴근길 혼란이 우려된다는 점이다.

지하철공사와 도시철도공사 등이 대체인력을 투입한다고 하지만 업무에 익숙하지 않은 탓에 사고 가능성이 높다.

특히 기관사와 전동차 정비 인력 등 핵심인력이 장기간 업무에 복귀하지 않을 경우 사고 가능성은 한층 높아진다.

지하철을 이용하는 시민 중 상당수가 버스나 승용차를 이용할 경우도 문제로 지적된다.

버스와 승용차 운행이 늘어나면 도봉·미아로 등 상습 정체구간의 교통혼잡은 불가피해 보인다.

특히 대중교통체계 개편 이후 잦은 장애로 골치를 썩인 새 교통카드 시스템과 정착되지 않은 중앙버스전용차로가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할 경우 자칫 최악의 사태도 피할 수 없게 된다.

서울시는 "파업이 길어지면 지하철 운행시간이 줄어들고 배차간격도 다소 늘어나 어느 정도 불편은 우려된다"고 밝혔다.

한편 시민들은 지하철 파업에 대해 "그렇지 않아도 버스 때문에 피해를 봤는데 또다시 지하철 때문에 피해를 봐야 하느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관악구 봉천동에 사는 우모씨(30·여)는 "파업을 하는 이유가 어찌됐든 시민의 편의를 고려한다면 노조와 회사측이 하루 빨리 타협해야 하지 않느냐"며 "노사 양측이 파업까지 가는 사태를 막지 못한다면 이는 시민의 안전을 볼모로 한 집단 이기주의라는 비난을 받을 것"이라고 말했다.

◆각 지자체 긴급 수송대책 마련=지하철 노조가 파업을 하는 서울 인천 등 전국 5개 지자체 및 공사측은 파업에 따른 시민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한 긴급 대책 마련에 나섰다.

서울지하철공사와 도시철도공사는 이날 오후 공동 기자회견을 갖고 "노조 파업에 따른 혼란을 막기 위해 기관사,역무원 등 각 업무에 대체인력을 투입키로 했다"고 밝혔다.

이태명 기자 chihir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