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은 한ㆍ중간 쌀협상 추이를 지켜보며 한국에 대한 쌀시장 개방 요구 수위를 조절할 방침이다. 주한 미 대사관 관계자는 8일 서울 남영동 미 대사관 공보과에서 비공식 기자간담회를 갖고 "한국 쌀시장 개방 전반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중국의 협상전략을 살펴본 뒤 의무수입물량(MMA) 증량 또는 쌀 관세화 유예 결정을 내릴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중국은 쌀값이 싸고 한국과 지리적으로 가까워 8개 쌀협상국(미국 제외) 중 중국의 태도를 주목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같은 발언은 현재 중국이 한국에 전면적인 쌀시장 개방을 요구할 가능성이 높은 가운데 나온 것이어서 주목된다. 미국측이 향후 쌀협상에서 중국과 보조를 맞춰 개방 공세를 강화하겠다는 뜻으로도 풀이할 수 있는 대목이다. 미국측과는 지난달 7일 1차 쌀협상을 가졌고 2차 협상 일정은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이와 함께 미 대사관 관계자는 지난달 초 '스페셜 301조' 연례심사를 통해 한국의 지식재산권 보호등급을 '우선감시대상국(PWL)'으로 지정한 것과 관련, "올 하반기 비정기 조사를 통해 보호등급을 '감시대상국(WL)'으로 완화할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현재 미국산 자동차에는 관세(8%)를 포함한 금액을 기준으로 특별소비세 등 내국세를 매겨 실제 관세율이 12% 정도"라며 "이같은 가격부담은 수입 소형차의 한국시장 진출에 타격을 주고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2.3GHz 휴대인터넷(WiBro) 표준과 관련, 이 관계자는 "표준 채택시 다양한 해외사업자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국제적 호환성이 확보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정호 기자 dolp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