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7월1일부터 대규모 사업장의 주5일 근무제 실시가 의무화되면서 올해 기업들의 임금 부담이 20% 이상 급증할 것으로 보인다.


대부분 기업이 노동조합의 노동조건 후퇴 없는 주5일 근무제 실시 요구에 밀리고 있는데다 노조가 추가로 10% 이상의 임금 인상을 요구하고 있어서다.


재계는 중국 쇼크,유가 상승 등으로 가뜩이나 어려운 상황에서 노동조건의 후퇴 없는 주5일 근무제 실시가 일반화될 경우 국제 경쟁력이 심각한 타격을 받을 수밖에 없다고 우려하고 있다.


11일 경영자총협회에 따르면 상당수 기업들이 노조와 노동조건 변화 없는 주5일 근무제에 합의하면서 평균 9.6%의 임금인상 부담을 떠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조는 여기에 올 임금인상률로 10.5%(민주노총)∼10.7%(한국노총)를 내세워 기업들은 협상 결과에 따라 20% 이상의 임금 상승 부담을 안아야 할 것으로 우려된다.


실제로 현대중공업의 경우 노동조건 후퇴 없는 주5일 근무제를 실시하면 7.13%의 임금인상 효과가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LG전자 역시 주 40시간 근무를 실시하면서 회사가 적어도 7.2%의 임금인상 부담을 떠안을 것으로 조사됐다.


심지어 유니온스틸(옛 연합철강) 등은 임금인상 부담이 15.5%까지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수영 경총 회장은 "유가 등 원자재 가격 상승과 차이나 쇼크,내수 부진 등 대내외 경영환경이 극도로 악화된 실정에서 근로자들의 양보 없는 주5일 근무제가 실시돼서는 곤란하다"며 "올해는 근로시간 단축과 임금인상 협상을 동시에 진행해 기업이 총 인건비를 얼마나 올려야 하는지를 노사가 모두 알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태웅 기자 redae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