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연합(EU)에 새로 가입하는 중.동유럽 국가들이 철강, 기계, 화학 등 분야에서 한국에 EU의 반덤핑 규정을 적용할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이종화 공주대 교수는 29일 외교통상부가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및 한국무역협회와 함께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한 `EU 확대와 대응전략' 세미나에서 "EU 확대로 중.동유럽은 철강, 기계, 화학, 가공식품 등의 제조업 생산이 감소하는 반면 이 지역에대한 한국 수출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이렇게 전망했다. 자동차와 의류산업은 중.동유럽의 생산 및 수출이 늘어나는 데 반해 한국의 수출은 감소할 것으로 예상돼 한국기업들은 현지 투자를 확대하거나 기존 생산기지를적극 활용해야 한다고 그는 밝혔다. 이 교수는 "EU 확대로 EU의 인증제도인 CE마크나 환경라벨 제도 적용지역이 늘어나 한국의 주요 수출품목의 시장 확대에 걸림돌이 될 것"이라며 "한국산 제품에반덤핑 조치를 취한 적이 없는 중.동유럽 국가들이 EU의 공동 통상정책을 적용받게돼 한국은 수출에서 다소 불리해질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EU 확대의 영향을 분석해보면 EU와 중.동유럽 국가들의 후생은 증가한 반면 한국의 후생은 다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한국은 지역블록 참가와 자유무역협정(FTA) 창출을 적극 모색하고 EU와의 관계 강화에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히데키 하야시 미즈호파이낸스그룹 수석경제연구원은 "최근 중.동유럽은 중국다음으로 일본기업들의 중요한 투자대상이 되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헝가리와 체코,폴란드는 투자대상 1그룹으로 분류된다"고 전했다. 그는 "한국과 일본은 비슷한 산업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에 양국 기업들은 중.동유럽의 생산자와 부품제작자 네트워크를 상호 활용할 수 있을 것이며 현재 협상이진행중인 한.일 FTA 등을 통해 확대된 EU시장에서 협력을 강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말했다. 안드레스 헤르나디 헝가리 세계경제연구소 연구위원은 "EU는 협력과 경쟁의 역사를 갖고 있으며, 앞으로도 경쟁적인 협력관계를 이뤄갈 것"이라며 "10개의 신규회원국은 커다란 경제적 차이를 보이고 있어 어떤 나라가 성공적으로 EU 안에 정착할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EU 확대는 실패의 위험성 및 고비용과 함께 사회, 지역, 농업적 측면에서많은 문제를 가져올 수 있으며, 특히 신규 회원국은 변화에 따른 고통을 겪을 수 있기 때문에 앞으로 2년이 매우 중요한 기간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서울=연합뉴스) 공병설기자 kong@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