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근로자들의 월평균 임금이 지난해 11월말 현재 대기업 근로자들의 59.6%에 그쳐 10년전보다 14%포인트나 낮아졌다고 한다. 그렇지 않아도 중소기업 근로자들의 생활이 대단히 어려운데 임금격차는 계속 확대돼 가고만 있으니 정말 걱정이 아닐 수 없다. 임금격차가 확대되는데 노동생산성이 큰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10년전 대기업의 69.5%선이었던 중소기업 노동생산성은 최근엔 55.5%수준까지 하락했다. 이 사실만으로 본다면 임금격차 확대는 너무도 당연한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그러나 한 번만 더 생각하면 임금격차를 꼭 생산성 탓으로만 돌릴 수는 없다는 사실을 쉽게 알 수 있다. 중소기업들은 대부분 생산제품을 대기업에 납품하고 있는 만큼 납품가격이 어떻게 되느냐에 따라 매출과 생산성이 크게 좌우될 수밖에 없다. 하지만 대기업들이 납품가격을 후하게 계산해 주는 경우는 극히 드물 뿐 아니라 외환위기 이후엔 구조조정과 경영합리화 바람이 불어닥치면서 가격인하 요구가 더욱 심해진 것이 냉엄한 현실이다. 중소기업 입장에서는 마른 수건을 쥐어짜듯 원가절감에 안간힘을 다해야 하는 형편이다 보니 매출액과 생산성 증가속도가 느리고 임금인상률도 뒤질 수밖에 없는 것이다. 또 그 때문에 근로자들의 중소기업 기피 현상이 더욱 심화되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기도 하다. 대기업들의 납품가격 인하 요구가 거세지는 요인으로 빼놓을 수 없는 것이 바로 부담스런 임금 문제다. 툭하면 파업을 벌이는 강성노조에 밀려 해마다 대폭적 임금인상을 되풀이하다보니 재원 마련을 위해 중소기업에 돌아갈 몫을 줄일 수밖에 없는 처지에 빠지게 된 것이다. 때문에 대기업노조도 이제 보다 넓은 시각을 갖고 자제하는 모습을 보이지 않으면 안된다. 더구나 전자 자동차 유화 등 주요 대기업 생산직의 경우 임금수준이 이미 선진국과 거의 대등한 수준까지 올라섰다는 조사가 나오기도 한 상황이다. 소외된 중소기업 근로자들의 형편은 아랑곳하지 않고 자신들의 철밥통만 지키겠다는 식의 노동운동을 계속한다면 집단이기주의의 전형이라는 비난은 더욱 고조될 수밖에 없다. 또 그리 되면 대기업 근로자와 중소기업 근로자간의 노·노 갈등이 심화되면서 노동계의 혼란도 가중될 것이 틀림없다. 대기업노조는 협력관계에 있는 중소기업이 파탄하면 대기업 역시 존립할 수 없다는 사실을 깊이 명심하지 않으면 안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