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이 3월 임시국회 소집을 추진할것으로 알려져 16대 국회 막바지에 `방탄국회' 논란이 재연될 조짐이다. 한나라당 홍사덕(洪思德) 총무는 2일 의원총회에서 "1일 오후부터 검찰이 지난대선때 중앙당에서 1억원 이상 받은 지구당 위원장을 조사하겠다는 애드벌룬을 띄우고 있다"며 "만약 검찰이 이같은 결정을 내리게 되면 명백한 선거개입으로 공명선거를 막는 행위로 볼 수 밖에 없어 임시국회 소집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최병렬(崔秉烈) 대표도 "출구조사를 하려면 같이해야 하는데 1억원으로 한계를둔 것은 법의 정의를 포기한 것"이라면서 "검찰의 방문.서면 등 어떤 형태의 조사에도 응하지 말고 국회를 열어 모든 수단을 동원해 투쟁할 것"이라고 말해 임시국회소집 추진의지를 재확인했다. 이에 대해 민주당 유용태(劉容泰) 원내대표는 "한나라당이 단독으로 한다면 몰라도 민주당은 반대한다"는 입장을 밝혔지만, 당내 일각에서는 임시국회 소집을 요구하는 목소리도 있다. 반면 열린우리당 관계자는 "현실적으로 선거가 임박해서 임시국회를 여는 것은가능하지도 않고, 방탄국회라는 비난을 받을 소지가 있는 만큼 절대로 반대한다"고말했다. 한편 한나라당이 2일 임시국회 소집요구서를 낼 경우 5일에나 국회소집이 가능해 국회의 석방결의로 풀려난 한나라당 서청원(徐淸源) 의원과 기왕에 체포동의안이제출됐거나 사전구속영장이 청구된 한나라당 박상규(朴尙奎) 민주당 한화갑(韓和甲)자민련 이인제(李仁濟) 의원 등의 신변 처리 여부가 주목된다. 그러나 검찰이 대선자금 출구조사 의지를 강하게 밝히고 있어 추가로 사법처리될 의원들이 생겨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임시국회가 소집될 경우 `방탄국회'라는 비난이 제기될 전망이다. 아울러 정치권이 이날 본회의에서 선거법 등 정치관계법과 친일반민족행위 진상규명법 등을 처리하지 못할 경우 임시국회 소집이 불가피하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어야당이 시급한 법안을 담보로 임시국회를 소집하려는 것 아니냐는 비판여론이 제기되고 있다. (서울=연합뉴스) 김현재 김중배기자 kn0209@yna.co.kr jbkim@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