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은 9일 북한의 핵 동결 제의를 정식 거부했고, 중국과 북한은 한미일 공동 문안에 대해 부정적인 의견을 표시했다. 따라서북핵 해결을 위한 제2차 6자 회담은 극적인 돌파구가 열리지 않는한 연내 개최가 사실상 불가능한 것으로 보인다. 북-미간 대화 분위기가 급랭 조짐을 보임에 따라 적극적인 중재 노력을 지속하겠다는 중국의 다짐에도 불구하고 후속 6자회담의 내년 1월초 개최 전망도 불투명해졌고, 회담 자체가 원점으로 돌아가는 것이 아닌가 하는 우려마저 일고 있다. 조지 부시 미국 대통령은 이날 미국을 방문중인 원자바오(溫家寶) 중국 총리와회담한 후 기자회견에서 북한이 6자 회담 재개를 위해 제의한 동시행동 첫 단계 합의 요구를 일축했다. 북한은 핵동결 대신 미국에 의한 `테러 지원국' 명단 해제, 정치 경제 군사적 제재와 봉쇄 철회, 중유, 전력등 에너지 지원 등의 대응조치를 요구했다. 그러나 부시 대통령은 "미국의 목표는 핵프로그램 동결이 아니다"라며 북한 제의를 일축했고, 리처드 바우처 국무부 대변인도 이날 논평에서 미국의 기본 입장은 북한의 핵동결이 아니라 북핵 계획의 완전 폐기라고 못박고 미국은 결코 북핵현안해결의 전제 조건으로 어떠한 보상이나 대가를 제공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미국도 당초 2차 6자회담을 이달 재개한다는 희망 아래 한일과 의견을 조율했고,부시대통령도 원 총리에게 중국이 한미일 문안을 토대로 북한이 핵동결을 선언 하도록 중재해줄 것을 당부했다. 그러나 원 총리는 현재로선 2차 6자 회담 소집이 시기상조라는 의사를 전달했다고 로이터통신은 전했다. 한미일은 지난 4~6일 워싱턴에서 비공식 정책협의회를 열었다. 3국은 '완전하고,검증가능하며, 되돌릴 수없도록'하는 핵폐기 3원칙을 토대로 하고, 대신 대북 안정보장을 하되 이는 북한측이 주장하고 있는 동시 행동이 아닌 상호 조율된 조치로 한다는 내용의 공동문안 초안을 작성, 중국에 전달했다. 이는 북한에 전달해 회답을 받아달라는 주문이었다. 그러나 중국측은 지난 8일 한미일의 이 초안을 북한에 전달하기는 했으나 이 안으로는 북한을 2차 6자회담 테이블로 끌어내도록 협상하기는 어렵다는 입장을 베이징 주재대사관을 통해 한미일 3국에 통보했다고 일본 교도통신이 일본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중국은 지난 11월 22일 베이징을 방문한 북한 김영일 외무성 부상과 한 회담에서 북한의 핵개발 계획 포기와 미국의 대북 안전보장을 동시행동 원칙 아래 일괄적으로 처리한다는 내용의 문안을 만들어 푸잉(傅瑩) 아주국 국장을 통해 한미일 정책협의회 때 전달했다. 한국과 일본은 미국과 한 정책협의회에서 미국에 대해 2차 6자회담을 조기에 성사시켜 북한의 핵 개발 프로그램 폐기를 유도하기 위해 더욱 유연한 대북 안전보장안을 제시할 것으로 요구했으나 미국측이 강경한 자세를 굽히지 않았다고 한 외교관은 전했다. 미국과 북한이 공식적으로는 모두 6자회담 후속회담 조기 개최를 외치면서도 서로 평행선을 달리는 제안을 하면서 공을 상대 코트로 밀어 넣는 힘겨루기를 계속하고 있는 상황이라는 것이 베이징 서방 외교가의 관측이다. 핵 개발 포기와 대북 안전보장을 동시에 하자는 북한의 주장과 우선 핵 개발 계획의 전면 포기를 선언하면 그 맥락에서 대북 안전보장 방안을 강구할테니 일단 무조건적으로 핵 개발 계획을 포기하라는 미국의 압박 공세가 아직은 접점을 찾지 못하고 있는 분석이다. 다만 미국도 그 중재역할을 인정하고 있고, 북한에 대한 영향력도 큰 중국이 차기 6자 회담 개최를 위한 노력을 지속하겠다고 다짐하고 있어 새 돌파구 마련의 묘책이 기대되고 있다. (베이징=연합뉴스) 조성대 특파원 sdcho@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