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의 연말 개각과 청와대 개편 구상 윤곽이 서서히 드러나고 있다. 시기는 새해 예산안의 국회통과가 이뤄질 것으로 예상되는 오는 22일께가 유력하고, 규모는 2-4개 부처 장관과 청와대 비서관급 이하 6-8명의 교체에 그칠 것으로예상된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7일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개각은 새해 예산안이 처리되는시점을 잘 지켜볼 필요가 있다"며 "이번엔 내년 4.15 총선 출마 변수보다 지난 2.27조각이후 축적된 개각 요인이 우선 감안될 것"이라고 말했다. 따라서 고 건(高 建) 국무총리와 김진표(金振杓) 경제부총리, 문희상(文喜相)비서실장과 문재인(文在寅) 민정수석 등 내각과 청와대 핵심인사들은 유임쪽으로 사실상 결론이 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노 대통령은 고 총리의 거취에 대해 "내년 4월까지 그대로 간다"고 확인까지 한 바 있다. 문희상 실장도 "현재 각료들중 출마 의사를 밝힌 사람은 단 한사람도 없고 청와대 수석급도 마찬가지"라며 "다만 출마를 결심한 비서관급 이하 인사만 있을 가능성이 있지 않겠느냐"고 전망했다. 이에 따라 NEIS(교육행정정보시스템) 파문과 수능 복수정답및 출제위원 선정 논란에 휩싸인 윤덕홍(尹德弘) 교육부총리, 위도 원전센터 유치 갈등의 책임론이 일고있는 윤진식(尹鎭植) 산자부장관의 교체가 유력시 된다. 아울러 출마설이 있는 김화중(金花中) 복지, 권기홍(權奇洪) 노동과 최종찬(崔鍾璨) 건교장관의 교체설도 나돈다. 특히 이라크 파병 문제를 놓고 NSC(국가안보회의)측 젊은 수뇌부와 갈등양상을보인 윤영관(尹永寬) 외교, 조영길(曺永吉) 국방장관, 청와대의 김희상(金熙相) 국방, 라종일(羅鍾一) 국가안보, 반기문(潘基文) 외교보좌관 등 외교안보라인에도 변화가 있을 것이라는 관측이 한때 제기됐으나 6자회담과 이라크 파병, 주한미군 재배치 등 풀어야 할 현안이 너무 많아 교체 검토대상에서 제외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른바 `전투를 앞두고 말을 갈아타지 않는다'는 격언을 반영한 셈이다. 어찌됐건 이번 소폭 개편은 내년 4.15 총선이후 정국이 격랑에 휩싸일 가능성이높은 현실을 감안할 때 굳이 3-4개월용 시한부 개각을 할 필요가 없지 않느냐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여권 고위관계자도 "어차피 내년 총선이후 사실상 `2기 조각'을 단행해야 할 상황도 배제할 수 없는게 아니냐"고 반문했다. 그러나 다른 고위관계자는 "지금은 모두들 침묵을 지키고 있지만 3-4개월짜리장관을 더 하느니보다 4년이 보장되는 의원을 하는게 더 낫다고 판단할 경우도 있을것"이라며 "더욱이 차출 케이스라면 설사 총선에서 낙선하더라도 사후보장이 된다고생각할 수 있지 않겠느냐"고 반문했다. 이에 따라 내년 1월 11일 열린우리당의 전당대회를 전후해 한차례 더 개편이 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게 청와대 고위관계자의 분석이다. 실제 여권 고위관계자는 "노 대통령이 열린우리당 전당대회를 전후해 전격적인입당을 선언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며 "만약 그렇게 되면 총선에 모든 것을 쏟아붇는 `올 인'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를테면 총선 출마를 고사하고 있는 강금실(康錦實) 법무장관과 문재인(文在寅)청와대 민정수석 등 `빅 카드'에 대해 노 대통령이 출마를 강권하는 사태가 올 수도있다는 것이다. 이럴 경우 문희상(文喜相) 비서실장과 유인태(柳寅泰) 정무, 박주현(朴珠賢) 국민참여수석, 정찬용(鄭燦龍) 인사보좌관도 `차출대상 1호'로 지목되고 있다. 만약 이들이 총투입된다면 수도권(문희상.강금실.박주현), 부산(문재인), 경남(김두관), 호남(정찬용), 충청권(유인태)에서 전국적인 바람몰이의 첨병역을 수행할것이라는게 청와대측 주장이다. 다만 정치권의 `강효리'로 불리는 강금실 장관의 경우 지역구로 뛰기 보다는 열린우리당의 전국구 상위순으로 나서야 한다는 의견이 적지 않아 주목된다. 이 때문에 이번 연말 개각보다는 내년 1,2월의 노 대통령의 입당가능성을 더 주목해야 한다는 견해가 압도적으로 우세하다. 어찌됐건 노 대통령은 이번 개각을 통해 특검정국으로 흐트러진 기강을 바로잡고 분위기 반전과 국정쇄신의 계기로 삼겠다는 입장을 분명히하고 있다. 특히 국정쇄신의 경우 인적 쇄신과 조직, 정책 쇄신 등 세가지를 생각할 수 있으나 일단 정부및 청와대 조직과 정책 쇄신 쪽에 무게를 두겠다는게 노 대통령의 확고한 생각이다. (서울=연합뉴스) 조복래기자 cbr@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