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5월 하역료율 협상을 위해 신선대 터미널을 방문했던 외국 선사 관계자가 최근 신선대 터미널을 재방문했다. 이들은 3개월 만에 다시 일어난 운송거부 사태에 도저히 이해할 수 없다는 반응이었고 우리 청 관계자는 이들을 설득하느라 진땀을 흘렸다. 부산항은 지난 3년간 홍콩 싱가포르 다음 가는 세계 제3위 컨테이너항으로 위치를 지켜왔다. 그러나 지난 5월 화물연대 사태 이후 물동량 증가세가 주춤하더니 7월에는 경쟁항인 중국 상하이항뿐 아니라 선전항에도 뒤졌다. 이번 운송거부 사태는 5월과는 달리 다분히 화물연대 지도부의 과욕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본다. 즉 컨테이너 부문은 운송료율을 약 13% 인상하기로 잠정 합의했음에도 불구하고 현실적으로 타결이 어려운 BCT(Bulk Cement Trailer) 분야와의 일괄 타결을 고집했다. 화물연대 운송거부 기간 동안 부산항의 고객인 국내외 선사와 화주들은 어느 때보다 비상한 관심을 갖고 사태를 지켜보았다. 부산항이 '불안한 항만'으로 남을 것인지,두 번의 운송거부 사태를 계기로 '안전한 항만'으로 탈바꿈할 것인지를 예의주시했다. 일반적으로 선사는 쉽게 기항지를 옮기지 않는다. 또 한 번 기항지를 옮기면 다시 되돌아오는 일도 거의 없다. 이는 지난 95년 지진사태로 세계 5위항이던 일본 고베가 세계 27위 항만으로 추락한 후 아직 그 위상을 회복하지 못한 데서도 알 수 있다. 화물연대가 지난 5일 파업 종료를 선언해 다행이지만 두 번의 파업사태는 부산항의 이미지에 깊은 상처를 남겼다. 부산항을 동북아 중심항만으로 키우기 위해 화물연대는 앞으로 법과 원칙을 지키며 합리적인 자세로 협상에 임해야 한다고 본다. 정부 관계부처는 지입제 등 전근대적 물류체계를 하루빨리 정비하고 물류과정을 투명화해 성실히 근무하는 대다수 운송기사에게 실질적인 혜택이 돌아가도록 물류산업 현대화 계획을 수립 실천해 나가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