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이 청와대 경제수석 자리를 부활하라고 촉구하고 나섰다. 이런 지적은 과거 정부와 달리 현 청와대의 '정책조율' 기능이 약화되면서 혼선이 빚어지고 있는 가운데 나온 것이어서 청와대의 향후 대응이 주목된다. 한나라당 이강두 정책위의장은 13일 당사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각종 정책현안을 놓고 청와대와 정부 부처가 혼선을 빚고 있고,경제부처들 사이에서도 의견 조율이 안된다"며 청와대 경제수석 자리를 다시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의장은 "노무현 대통령은 최우선 국정목표를 '경제살리기'로 설정하고 '국정대혁신'에 주력해야 한다"며 "이를 위해 청와대와 정부부처가 일관된 정책을 추진할 수 있도록 국정시스템을 재점검해야 할 것"이라고 제안했다. 또 "아마추어 참모조직에 의존하던 시스템을 과감하게 버리고 인적쇄신을 통해 분위기 일신에 나서라"고 요구했다. 이와 함께 이 의장은 "'2만달러 시대'와 같은 알맹이 없는 구호보다는 일관성을 지킬 수 있는 경제정책을 제시하라"며 "무엇보다 노사관계 안정화 등 산업평화 정착에 확고한 의지를 보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청와대 경제수석을 부활해야 한다는 목소리는 이번에 처음 나온 것은 아니다. 이전에도 일부 경제학자들은 청와대 내에서 경제를 주도적으로 챙길 '수석보좌관'이 있어야 한다고 주장해 왔다. 그러나 청와대는 정책실장-정책수석-경제보좌관의 3각체제로 된 경제참모조직을 당장 바꿀 의사는 없어 보인다. 노 대통령은 오는 25일 비서실 조직개편 및 비서관급 인사방침을 예고했지만 수석·보좌관급은 여기에 해당되지 않는다고 윤태영 대변인이 전했다. 그런데도 경제수석 자리가 새로 만들어져야 한다는 목소리는 여기저기서 나오고 있다. 대통령을 대신해 경제를 책임있게 챙길 사람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런 주장을 하는 사람들은 "서울 강남지역의 아파트값 상승에 효율적으로 대처하지 못한 것도 업무가 분산돼 있기 때문"이라고 지적한다. 정책조율이 제대로 이뤄지지 못해 실패한 사례라는 얘기다. 실제로 건교부 재경부 교육부 국세청 등 각 부처와 지방자치단체인 서울시 업무까지 복잡하게 얽힌 이 문제에 대해 청와대는 이렇다할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다. 청와대 관계자는 "관계 부처에서 진행 중인 업무를 점검하고 있고, 노 대통령도 관심을 가지고 있다"면서도 "현재와 같은 직제ㆍ기능에서 청와대가 전면에 나서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또다른 정부 관계자는 "부동산 대책으로 교육지방자치와 같은 획기적인 방안의 시행이 정부내에서 제기됐으나 교육부의 반발로 무위로 끝난 적이 있다"며 "이런 사안을 종합적으로 조율할 '컨트롤 타워'가 없다"고 설명했다. 김형배ㆍ허원순 기자 khb@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