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몽헌 현대아산이사회 회장의 갑작스런 투신자살로 대검 중수부가 본격 착수한 `현대비자금 150억원+α'사건 수사가 중대 변수를 맞게 됐다. 정 회장은 2000년 4월 중순 이익치 전 현대증권 회장을 통해 박지원 전 문화관광부 장관에게 1억원짜리 양도성예금증서(CD) 150장을 건넨 `뇌물 공여자'로 송두환 `북송금' 특검팀 수사에서 드러났기 때문이다. 정 회장은 현대 비자금 사건을 풀 핵심 인사로서 검찰 수사를 눈앞에 두고 있었으나 김영환씨 귀국 문제가 매듭을 짓기도 전에 자살로 생애를 마감, 검찰로선 상당한 차질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 송 특검팀은 지난 6월말 수사기한 만료로 `비자금 150억원' 사건을 마무리하지 못해 박 전 장관의 공소장에서 150억원 뇌물수수 혐의를 제외했고, 이 부분에 대한 수사는 현재 검찰에 맡겨진 상태. 검찰은 박 전 장관이 특검 조사과정에서 150억원 수수 혐의를 완강히 부인, 그간 150억원과 관련된 광범위한 계좌추적 작업을 벌이며 박 전 장관의 혐의를 뒷받침할 물증찾기에 주력해왔다. 이와 함께 검찰은 150억원 전달 과정과 돈세탁에 깊숙이 관여한 김영완(미국체류)씨를 자진귀국시키기 위한 설득 작업을 병행해 왔다. 검찰은 또 이번 주까지 계좌추적 작업을 어느 정도 마무리한 뒤 이르면 내주중 정 회장 등 주요 관련자들을 차례로 소환, 150억원이 건네지게 된 경위 등에 대한 조사를 벌일 예정이었다. 그러나 정 회장이 갑작스럽게 자살함에 따라 검찰은 정 회장에 대한 직접 조사가 불가능하게 돼 수사에 상당한 차질을 빚게 됐다. 게다가 김영완씨 귀국여부도 불투명하고, 1억원짜리 CD 150장도 애초부터 돈세탁된 김영완씨의 현금 150억원으로 `바꿔치기'됐을 가능성마저 제기되고 있어 정 회장의 자살로 인해 이번 수사가 미궁에 빠지지 않겠느냐는 섣부른 전망까지 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검찰은 김영완씨를 조기귀국시키기 위한 노력과 150억원의 행방을 쫓는 작업에 한층 박차를 가할 전망이다. 일각에선 김영완씨가 검찰의 바람대로 귀국을 하거나 150억원 계좌추적에서 어떤 성과가 나온다면 정 회장이 없더라도 정 회장이 이미 특검조사 과정에서 150억원 전달과정에 대한 상세한 진술을 해놓았기 때문에 박 전 장관의 뇌물수수 혐의를 입증하는데 큰 문제는 없을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정 회장이 아니더라도 돈을 직접 전달했다고 특검에서 진술한 이익치 전 현대증권 회장과 CD를 만들어 이 전회장에게 건넨 김재수 전구조본부장 등 관련자들의 진술로도 혐의 입증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실제 CD를 직접 전달했다고 진술한 인사는 이 전회장이 검찰 조사를 통해 재확인될 경우 직접 증거로 작용, 법정에서 인정받을 수 있을 것으로 검찰은 보고 있다. (서울=연합뉴스) 고웅석 기자 freemong@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