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존 나이스비트 (美 미래학자) 인터넷산업의 성장 과정에서 나타났던 젊은 사업가들의 왕성한 기업가정신이 발휘돼야만 현재의 경기침체에서 벗어날 수 있다. 정부의 지나친 규제와 시장개입이 이들의 사업의욕을 꺾어서는 안되며 정부 시장간섭은 최소화돼야 한다. 민간부분의 경제활동이 밑으로부터 활성화되고 경제주체들간의 자발적인 조직화가 이뤄져야만 선진경제로 발돋움할 수 있다. 한국에서 외자유치만큼 중요한 것이 해외 인재들에 대한 문호 개방이다. 또 경제성장의 가장 중요한 변수가 되는 인적자본의 질적 향상을 위해 교육에 정책 우선순위를 둬야 한다. 우수 인재 확보야말로 물적 자원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가장 빠른 지름길이다. 한국 정부의 의식적인 민영화 노력도 필수적이다. 민영화란 정부에 굳은 의지와 책임을 요구하는 힘든 작업이지만 그 장기적 이익은 단기적인 고통에 비할 바가 아니다. 단순히 누가 제품을 생산했나 알려주는 '트레이드 마크(trade mark)'는 소비자의 믿음과 감정을 상표에 연결짓는 '트러스트 마크(trust mark)'로 빠르게 대체되고 있다는 점을 한국 기업들은 명심해야 한다. ◆ 기 소르망 (佛 파리1대학 교수) '메이드 인 코리아'의 고유한 브랜드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는 우수한 문화적 유산을 차세대 성장동력의 밑거름으로 삼아야 한다. 한국은 진정 독특하지만 그 진가가 널리 알려져 있지 않다. 한국 문화는 전통적이면서도 현대적인 면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 이는 전통문화가 지나치게 훼손되고 있는 중국과, 해외 소비자들에게 너무나 이국적인 말레이시아 태국 같은 동남아 국가들과 대조되는 부분이다. 그러나 한국문화를 해외에 선양하기 위한 노력이 너무 부족하다. 경제분야에서 선도적인 국가들은 모두 저마다 강력하고 쉽게 묘사되는 문화적 이미지를 갖고 있다. 미국은 탁월한 품질과 서비스, 독일은 고품질과 기술, 프랑스는 패션과 삶의 질, 일본은 정밀과 섬세한 아름다움 등이다. 한국은 이제 수출상품이나 서비스에 '문화적 부가가치(added cultural value)'를 창출할 때가 왔다. 글로벌 시장에서 독특한 문화 부가가치는 무서운 경쟁무기가 될 수 있다. 이와 함께 한국은 유연하고 개방된 사고를 가진 우수인재 육성에 더욱 힘써야 한다고 조언하고 싶다. 경제성장 문제는 다음 세대가 이어받아 추진해야 할 지속적인 과제이기 때문이다. ◆ 로버트 고든 (美 노스웨스턴대 교수) 지난 90년대 말 호황을 이끌었던 정보통신 투자는 앞으로 크게 늘어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이미 공급과잉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 데다 하드웨어의 발전 속도를 소프트웨어가 따라가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컴퓨터의 용량이나 처리속도는 몇년 전에 비해 엄청나게 개선됐지만 윈도 시스템은 예나 지금이나 비슷하다. 그럼에도 미국의 성장 전망은 비교적 낙관적이다. 미국 경제는 향후 20년 동안 연평균 3% 내외의 견실한 성장세를 이어갈 가능성이 높다. 그 이유로는 △지난 봄 이후 완연한 경기회복세 △통화팽창 정책 △재정지출 확대 △달러화 약세 등을 꼽을 수 있다. 또 정보통신 부문의 투자가 더 이상 증가하지 않더라도 생산성은 지속적으로 높아질 것이다. 지연효과로 인해 과거의 투자효과가 미래의 생산성을 뒷받침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인구증가율도 예상보다 높아져 경제성장의 밑거름이 될 것이다. 특히 이민자들의 높은 출산율은 성장에 긍정적인 기여를 할 전망이다. ◆ 폴 로머 (美 스탠퍼드대 교수) 차세대 성장동력을 찾기 이전에 먼저 '성장'에 대한 개념부터 재정립해야 한다. 지금까지 '성장'은 한 국가의 잠재적인 생산력과 실질 생산력과의 차이를 줄이는 과정으로 이해됐지만 앞으로는 성장 잠재력 자체를 끌어올리는 것으로 해석돼야 한다. 성장 잠재력 향상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교육여건을 개선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국의 향후 정책방향도 여기에 초점이 맞춰져야 한다. 특히 대학에 대한 지원을 늘려야 한다. 그러나 무작정 보조금을 늘리는 것은 대학교육의 질을 높이는데 큰 도움이 되지 못한다. 대학별로 경쟁체제를 도입해 성과에 따른 보상이 이뤄지도록 하는게 바람직하다. 이공계 교육 역시 소홀히 해서는 안된다. 한국은 24세 이상 인구중 기술자와 과학자의 비중이 미국보다 높아 노동시장의 유연성만 뒷받침된다면 향후 지속적인 성장이 가능할 것이다. 안재석 기자 yag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