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5일제 실시와 관련해 정부안과 일정 거리를 둬오던 재계가 정부안을 수용하는 쪽으로 공식 입장을 바꿨다. 전국경제인연합회 현명관 부회장은 21일 기자간담회를 갖고 "주5일제에 대한 정부안이 흔쾌히 받아들일 것은 못되지만 현재의 노사현실을 감안하면 정부안이라도빨리 정착돼 주5일제가 노사분규의 쟁점이 되지 않도록 해야한다"고 밝혔다. 현 부회장의 주5일제 정부안 수용 발언은 경제5단체 고위관계자로서는 처음 밝힌 것으로 재계의 공식적인 입장 변화를 의미하는 것이어서 주목된다. 이는 재계가 최근 금속노조 산별교섭에서 '임금 삭감이 없는 주5일 근무제'에합의한 것이 다른 사업장에도 연쇄적으로 확산될 것을 우려, 국회 계류중인 정부 입법안이라도 통과시키는 게 낫다는 차선책을 택한 것으로 분석된다. 현 부회장은 또 노무현 대통령이 이날 기자회견을 통해 '기업이 대선자금을 자진공개해야 한다'고 말한 것에 대해 "대선자금은 받은 쪽에서 공개해야지 왜 준 쪽에서 공개하느냐"며 "기업은 정치에 관여하지 않고 경제에만 전념토록 해줬으면 좋겠다"고 말해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그는 이와관련 "기업들이 최근 윤리.정도.투명경영을 강조하는 것은 부정한 비자금을 주지 않겠다는 뜻"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최근 강철규 공정거래위원장이 밝힌 출자총액규제 개선방안과 관련, "정부한쪽에선 기업투자 촉진을 위한 정책이 마련되고 한쪽에선 기업들의 의욕을 꺾는 정책이 발표되는 등 정부정책이 지나치게 상충되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는 "국민소득 2만달러 시대를 만들어 나갈 주역은 정부가 아니라 기업이며 정부는 기업하기 좋은 환경을 만들어 줘야하는데 뭔가 착각하고 있는 것 같다"며 "지금은 정책의 우선 순위를 차세대 성장엔진을 만드는데 둬야 할 때"라고 지적했다. 그는 "기업인들은 실물경제에 대해 체감적으로 학자나 공무원보다 더 많이 알고있다"며 "기업인들의 목소리를 엄살이나 그냥 하는 얘기로 받아들이지 말고 액면 그대로 수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하반기 경제전망에 대해 그는 "좋아질 것이라는 건 희망사항인 것 같다"며 "내수와 투자 침체속에서 그나마 버티고 있는 것은 오로지 수출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서울=연합뉴스) 권혁창기자 faith@yonhap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