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전수거물 관리센터(원전센터)가 새만금사업 중단 결정을 뒤집을 수 있을까. 전국 지방자치단체 가운데서 유일하게 원전센터 유치를 신청한 김종규 전북 부안군수가 "새만금사업이 중단되면 원전수거물관리센터 유치를 철회할 수도 있다"고밝힘에 따라 새만금사업과 원전센터 유치가 한 배를 타게 됐다. 본안 소송을 앞둔 새만금 잠정 중단 결정이 국가적 과제인 `원전센터 유치 포기'카드와 연계되면서 재판부나 정부가 압박을 받을 수 있는 새로운 변수로 작용하게된 셈이다. 김군수는 올초부터 줄곧 원전센터 유치를 반대해오다 지난 11일 돌연 유치를 공식 선언했고, 산업자원부는 부안군을 유치 후보지로 사실상 확정한 상태다. 그가 정반대의 입장으로 선회한 것은 논란을 빚고 있는 새만금사업과 원전센터를 연계, 한묶음으로 해결하기 위해 전북도가 절묘한 시점에 승부수를 던진 것으로볼 수 있다. 강현욱 전북도지사는 김군수의 유치 공식 선언 하루 전날 관선 시절 부안군수를역임한 이철규 임실군수와 함께 부안을 방문, 김군수를 만나 `설득 작업'을 벌인 것으로 확인돼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 김군수가 `새만금간척지에 친 환경 미래에너지 단지를 설치해 줄 것'과 `원전센터와 새만금사업이라는 두 국책사업을 전북도의 발전 계기로 삼겠다'며 평소와 달리`새만금'을 자주 언급한 것은 서울행정법원의 새만금 중단 결정(15일)을 예견한 전북도의 계산이 강하게 반영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즉, 원전센터에 비해 규모가 몇 배 큰 새만금사업의 원활한 완공을 위해서는 원전센터를 유치해 새만금사업에 대한 반대 여론이나 중단 결정을 자연스럽게 원전센터로 전환해 `2개의 국책사업을 전면 포기하든지, 모두 성사시키든지' 정부를 압박해 이번 기회에 확실히 매듭을 짓겠다는 전략으로 볼 수 있다. `안면도 사태'이후 17년 넘게 끌어온 국가의 원자력 에너지 정책은 서울행정법원의 새만금 중단 결정이 내려지기 전까지는 부안군의 단독 신청으로 해결되는 듯했다. 그러나 김군수의 `유치 철회' 카드는 새만금 중단 결정에 항의해 연일 계속되고있는 전북도 사회단체나 도민의 강력한 반발보다 강한 파괴력을 가질 것으로 보여사법부나 정부가 어떤 결정을 내릴지 주목된다. (전주=연합뉴스) 홍인철 기자 ichong@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