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병 환자에게 가장 힘든 계절이 여름이다. 당분이 높은 아이스크림 청량음료 등의 유혹을 뿌리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여름철 당뇨 환자는 음식뿐 아니라 운동 여행 발관리 등에 특히 주의해야 한다. 당뇨 환자는 무더위를 이기겠다는 생각보다 무더위에 적응한다는 마음가짐을 갖는 게 중요하다. 무더위는 혈당을 급격히 상승시키고 수분과 전해질의 공급을 방해한다. 따라서 당뇨환자는 선풍기나 에어컨 등을 적절히 이용하는게 바람직하다. 적당한 운동도 절대적으로 필요하지만 지나친 운동이나 과음 열사병 등은 돌연사를 유발할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소홀하기 쉬운 발관리와 인슐린 보관에도 신경을 써야 한다. 당뇨 환자의 여름나기 요령에 대해 알아본다. [ 도움말 = 김광원 성균관의대 삼성서울병원 내분비대사내과 교수 ] ----------------------------------------------------------------- ◆ 여름나기 수칙 =여름철에는 식사요법 운동요법 약물요법 등을 통해 혈당관리에 신경을 쏟아야 한다. 기온이 높아지면 식욕이 떨어지므로 냉콩국수 냉채 우무냉국 겨자채 등으로 식욕을 북돋워줘야 한다. 영양부족은 당뇨환자에게 치명적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다양한 영양소로 적절한 열량을 섭취하는게 중요하다. 절대로 식사를 걸러서는 안된다. 조금씩 자주 먹는게 좋다. 술은 가능하면 마시지 말고 마시더라도 두 잔 이내로 줄여야 한다. 고혈당에 대비해 당뇨약을, 저혈당에 대비해 초콜릿 사탕 과자 과일 등을 가지고 다니는게 바람직하다. 인슐린은 섭씨 23도 이하의 온도에서 6∼8주 동안 보관할 수 있다. 인슐린을 자동차 트렁크에 넣고 여행을 가거나 땡볕 아래 몇 시간씩 차를 세워놓으면 상하기 쉬우므로 주의해야 한다. ◆ 냉수, 보리차가 좋다 =여름철에는 혈당이 ㎗당 20∼30mg 정도 높아진다. 날씨가 무더워지면 당뇨병 환자가 갈증 해소를 위해 음료수나 빙과류를 많이 먹기 때문이다. 그러나 음료수에 있는 당분은 혈당 조절에 나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시원한 냉수나 보리차를 마시는 것이 좋다. 냉녹차, 레몬을 띄운 냉홍차나 싱겁게 끓여 냉장고에 넣어둔 미역국, 오이냉국도 혈당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갈증을 해소할 수 있다. ◆ 발 관리 잘해야 =날씨가 덥고 습하면서 발에 생기는 무좀이나 습진 등은 발 합병증을 더욱 악화시킨다. 가벼운 상처로도 살이 패는 궤양이나 살이 썩는 괴저 등 심각한 합병증이 일어날 수 있다. 병원에 입원한 전체 당뇨병 환자의 10∼20%는 발 합병증 때문에 입원치료를 받는다. 발을 절단해야 하는 경우도 생기므로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 당뇨환자는 절대로 물가 해변가 수영장에 맨발로 다녀서는 안된다. 꼭 얇은 양말이라도 신고 발 전체를 덮는 신발을 신어야 한다. 발 노출부위가 많은 샌들과 슬리퍼는 신어서는 안된다. 작은 상처로 발 감염증이 시작될 수 있기 때문이다. 발 뒤꿈치가 갈라지면 그 틈새로 세균이 침투할 수 있다. 이 경우 발을 씻고 말린 뒤 발 뒤꿈치 등에 피부 보습제를 발라 피부가 건조해지거나 갈라지는 것을 예방해야 한다. ◆ 규칙적 운동은 필수 =운동이 혈당조절 및 당뇨합병증 예방에 효과적이라고 해서 무작정 운동을 시작해서는 곤란하다. 당뇨환자에게 운동은 필수적이지만 바람직하지 않은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당뇨병 전문의의 도움을 받아 운동계획을 세워야 한다. 여름에도 규칙적으로 운동해야 하지만 주의해야 할 것이 있다. 우선 운동하기 전 혈당을 체크해야 한다. 혈당치가 ㎗당 2백50mg 이상일 경우에는 운동을 피하는게 좋다. 혈당치가 운동 전에 1백mg 이하이면 약간의 간식을 먹은 다음 운동을 해야 한다. 인슐린을 투여할 경우에는 인슐린을 맞은 뒤 최소한 1시간이 지난 뒤 운동을 시작해야 한다. 운동을 하면 시간당 0.75∼1ℓ의 땀이 나오므로 갈증을 느끼기 전에 수분을 섭취하는게 좋다. 탈수 방지를 위해 운동 중 20분마다 2백50ℓ의 수분을 보충해 준다. 스포츠 음료는 괜찮지만 당분이 10% 이상 함유된 음료수의 경우 물을 섞어 마시거나, 약간의 물을 마신 뒤 먹으면 수분 흡수가 빠를 수 있다. ----------------------------------------------------------------- < 당뇨환자 여름운동 요령 > 하루 중 더운 시간대를 피한다. 바람이 잘 통하는 그늘이나 시원한 실내에서 한다. 땀복보다는 통풍이 잘 되는 옷을 입는다. 습도가 높을 때는 운동 강도를 낮춘다. 수영할 때엔 발에 상처가 나지 않도록 주의한다. 스포츠 음료는 당분 함유량이 10% 미만인 것을 선택한다. 운동 후 일반 식사로도 염분을 충분히 섭취할 수 있으므로 염분을 별도로 먹을 필요는 없다. 김문권 기자 mk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