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스(SARS.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퇴치1호국'을 선언한 베트남이 이 질환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후속조치 마련에 나섰다. 찬티춤치엔 베트남 보건부장관은 30일 항공기를 통해 입국하는 승객들을 대상으로 의무적으로 체온측정을 하도록 하는 것 등을 포함한 사스 예방 후속조치 마련을위해 260만달러를 추가로 투입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치엔 장관은 또 베트남에 들어오는 방문객의 경우 배부받은 건강신고서에 고열같은 사스 증상이 없음을 반드시 기입토록 하는 방안을 추진할 뜻도 밝혔다. 이와 함께 주요 공항과 항만에 배치된 보건부 및 검역관련 부처 직원수를 늘이는 한편 특히 사스의 주감염경로로 지목된 중국 국경선(1천300km)에 대해서는 관련장비와 직원들을 최대한 투입해 사스의 유입을 원천봉쇄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 북부 베트남 최대의 관광명소로 중국 관광객수가 전체의 60%를 차지하는 쾅닌성 당국은 중국 관광객의 입국을 불허할 방침을 발표했다. 쾅닌성 당국은 "이번 조치로 관광수입이 크게 줄어들 것으로 우려되지만 사스라른 전대미문의 질환을 원천봉쇄하기 위해서는 불가피한 결단"이라면서 "관련업계의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내국인들이나 베트남 거주 외국인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판촉활동을 실시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베트남 정부는 세계보건기구(WHO)와의 공동기자회견을 통해 지난 8일 하노이 남쪽의 닌빙성에서 사스 감염 환자가 보고된 이후 3주 동안 새로운 환자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미뤄 사스가 완전히 퇴치된 것으로 판단된다고 발표, 사스 발생 30여개국 중 첫 퇴치국의 '영예'를 안았다. (하노이=연합뉴스) 김선한 특파원 shkim@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