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홈쇼핑 업계가 롯데의 우리홈쇼핑 인수추진설로 혼란스럽다. 롯데가 후발 홈쇼핑 업체 중 하나를 인수할 것이란 소문은 신선한 메뉴는 아니다. 후발 3사가 사업승인장을 받은 2001년 5월 이후 끊임없이 나왔던 얘기다. 루머의 줄기는 늘 비슷하다. 사려는 쪽은 롯데와 신세계,팔려는 쪽은 우리홈쇼핑 아니면 농수산홈쇼핑이다. 근거가 없는 것은 아니다. 롯데와 신세계는 TV홈쇼핑 사업에 참여하기 위해 오래 전부터 전력을 쏟았다. 그러나 매번 실패했다. 신세계의 경우 지난 97년 당시 39쇼핑(현 CJ홈쇼핑)의 사장을 만나 인수를 타진하기도 했다. 홈쇼핑 업계는 최근 불거진 인수설의 진원지로 롯데쪽을 지목한다. 신규 사업 추진을 지시받은 모 임원이 법적으로 후발 홈쇼핑업체 인수가 가능한 내년 5월 이후를 겨냥해 지금부터 정지작업을 하고 있다는 해석이 유력하다. 사정을 더 파고들면 롯데의 우리홈쇼핑 인수는 결코 만만치 않다. 우리홈쇼핑의 최대주주인 경방은 2대주주 아이즈비전과 법정투쟁을 불사할 정도로 사업의지가 확고하다. 경방측 2세 경영인들도 이런 사실을 확인하고 있다. 나머지 대주주인 아이즈비전 행남자기 대아건설의 지분을 모두 사들이면 가능하다고 주장하는 사람도 있다. 일단 30%를 넘길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경방이 가진 12.88%가 지분의 전부라고 보는 건 순진한 생각이다. 우호지분이 얼마나 되는지는 경방 외에는 아무도 모른다. 그래서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이번 인수설도 또 한차례의 해프닝으로 끝날 수 있다는 얘기가 나돈다. 이런 혼란을 막는 해법은 의외로 간단하다. TV홈쇼핑을 지금처럼 정부의 인허가 사업으로 둘 게 아니라 일정 조건 아래 자유화하는 것이다. 여느 사업처럼 시장에서 치열하게 경쟁해 살아남을 수 있는 업체만 남게 하자는 것이다. 물론 전제조건은 있다. 지금처럼 공중파 채널과 붙어 있는 '로(low) 채널'에 둘 게 아니라 50번 이상의 '하이(high) 채널'로 몰아버리는 것이다. 홈쇼핑 시청자들로부터 한꺼번에 평가받게 하자는 얘기다. 그동안 전문가들은 이 방안을 수없이 제시했다. 그런데도 홈쇼핑 인허가를 담당하는 방송위원회는 묵묵부답이다. 강창동 유통전문기자 cdk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