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재완 < 중앙대 산업과학대학장 > '기업 하기 좋은 지역 대상'의 수상자를 선정하기 위해 평가를 실시하면서 가장 주안점을 뒀던 부분은 공정성과 객관성이다. 주관적이라거나 정실에 의한 결과라는 지적을 받을 경우 상의 취지나 신뢰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우선 평가 대상지역을 2개 그룹으로 나눴다. 서울 등 7개 광역시를 1그룹으로 하고 인구 20만 이상인 36개 시를 2그룹으로 분류했다. 이렇게 그룹을 2원화한 것은 일괄적으로 평가할 경우 산업기반시설 등이 많이 확보된 광역시가 상대적으로 높은 점수를 받을 수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광역지방자치단체인 도와 기초지방단체인 시.군.구까지 포함하는 방안도 거론됐으나 배제했다. 도의 경우엔 광역시나 시.군.구를 포함하는 개념이며, 시.군.구까지 확대하면 심도 있는 평가가 어렵고 상당한 기일이 소요된다는 지적이 평가 실무단에서 설득력을 얻은데 따른 것이다. 평가결과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제도적인 장치도 마련했다. 평가를 서로 다른 두가지 방식으로 실시한 뒤 각각의 방식에서 산출된 점수를 합쳐 수상자를 선정한 것이다. 평가방식으로는 공식적인 통계자료를 활용한 객관적 평가와 기업체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벌인 주관적 평가를 사용했다. 객관적 평가의 경우 도로, 정보.통신인프라, 공항, 항만 등의 기반시설을 지자체 스스로 결정할 수 없다는 점을 감안해 40점을 부여했다. 객관적 평가에서 광역시보다는 중소도시가 평가대상 지표가 많아 광역시는 18개, 광역시 외의 도시는 15개 지표를 각각 차등 적용했다. 설문조사 결과에 대해선 더 많이 배점했다. 기업체들이 해당 지역에 갖고 있는 체감도로서 해당 지자체의 기업활동 개선의지를 나타내주는 것이라는 점에서 60점을 책정했다. 설문조사는 지역별로 소재한 1천1백89개 기업체가 대상이었으며 설문은 25개 항목으로 나뉘어 실시됐다. 평가 부문은 크게 4가지다. 산업기반과 관련된 기반.입지.인력.지원 등이다. 산업기반여건의 주요 평가요소는 사회간접자본(SOC), 정보.통신인프라, 기업집적도가 활용됐다. 입지여건은 인건비 용지비 물류비 주거비 등 비용측면에서 검토됐다. 산업인력은 노동력의 질과 양, 직업교육여건, 산학협력 등을 따졌다. 산업지원여건으로는 규제완화에 얼마나 노력했는지, 노사분규 중재나 투자유치는 어땠는지 등을 고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