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라크 정부가 수도 바그다드에 대한 통제권을 상실하면서 주민들이 대거 약탈을 자행하는 등 시내 전체가 무정부 상태에 빠져들고 있다. 미군이 바그다드 시내 거의 전역에 진주한 9일 바그다드 주민들은 이라크군 병사와 민병대, 그리고 바트당원들이 떠난 군사시설, 정부 청사등에 난입해 책상과 컴퓨터 등 집기를 들어내는 등 무차별적인 약탈을 자행했다고 현지 목격자들이 전했다. 특히 바그다드 동북부 사담시티에서는 거의 전주민이 몰려 나와 약탈에 나서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사담시티에서는 주민들이 길거리로 쏟아져 나와 진격하는 미군에 환호를 보내면서 한편에서는 상점에 몰려가 문과 창문을 마구 부수고 가구, 식량, 가전제품 등을 들고 나왔다고 목격자들은 전했다. 일부 약탈자들은 손수레에 약탈한 물건을 실어 날랐으며 자동차를 대놓고 물건을 들어내기도 했다. 목격자들은 또 사담시티의 주민들이 미군이 진격하기전 이곳을 지키던 사담 페다인 민병대를 몰아냈다는 소식도 들리고 있다고 덧붙였다. 사담시티는 그동안 이라크 집권세력인 수니파에 의해 탄압과 핍박을 받아온 시아파 주민들이 몰려사는 빈민지역이다. 바그다드 중심부의 올림픽위원회 본부, 국영 석유회사, 교통경찰 본부 등이 들어 있는 주요 빌딩들도 약탈 대상이 됐다. 특히 수십명의 젊은이들이 떼지어 무역부 청사에 몰려가 에어컨, 냉장고, TV 등을 들어내는 모습이 목격됐다. 이들 중 일부는 정부청사에 걸린 사담 후세인 대통령의 초상화를 부숴버리기도 했다. 이처럼 무질서와 약탈이 만연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라크 정부가 질서를 위한 어떠한 조치도 내리고 있지 않아 바그다드에서 이라크 정부의 통제력은 완전히 와해된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점령군인 미군이 질서유지에 나서지 않을 경우 약탈과 무질서가 상당기간 지속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미군은 일부 지역에서 미군을 환영하는 분위기에 고무되기도 했으나 무질서상황에 당황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카타르 도하에 있는 미군 중부사령부는 바그다드의 약탈과 무정부 상태에 대해 우려할 상황이라고 시인했다. 한편 BBC 방송은 이날 영국군이 무법천지로 변해 약탈이 만연됐던 남부 바스라의 질서회복을 위한 조치에 들어갔다고 보도했다. 영국군이 7일 전격 진격한 이후 바스라는 많은 시민들이 대학과 은행, 공공건물 등을 약탈하는 등 무법천지의 혼돈 속으로 빠져들었다. (바그다드 AP.AFP=연합뉴스) songbs@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