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정부 교육정책을 이끌 교육부총리가 진통에 진통을 거듭한 끝에 윤덕홍(尹德弘) 대구대 총장으로 낙점됐다. 개혁.안정의 조화와 중.고등학교 교육행정 경험을 두루 고려한 흔적이 역력하다는 평이다.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의 지방대 육성 의지를 대변하고 있다는 측면도 지적된다. 인선진통은 2.27 조각명단에서 교육부총리만 유일하게 빠지면서 예고됐다. 노 대통령이 "가능한한 5년간 임기를 함께할 인물을 찾아야한다"고 강조했던 게 까다로운 인선기준을 낳았고 이것이 인물난으로 연결됐기 때문이다. 노 대통령은 교육부총리 인선기준에 대해 개혁성과 공동체의식, 경쟁마인드, 교육단체 호감 등을 제시했었다. 이런 원칙아래 노 대통령은 대학에 치우쳤던 종래 교육행정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며 중등교육에 밝고 현장과 인성교육에 정통한 인사를 발탁한다는 차원에서, 전성은(全聖恩) 거창 샛별중 교장 카드를 막판까지 버리지 못했다는 후문이다. 전 교장은 그러나 중요한 거대 부처를 관장할 능력 및 세계화 교육철학에 대한 평가에서 다소 밀려 `다음 기회'로 넘어간 것으로 전해졌다. 윤 총장, 전 교장과 더불어 막바지까지 경합했던 인물은 김상곤(金相坤) 한신대 교수였으나 김 교수 역시 교육행정 경험에서 점수를 낮게 받았다는 후문이다. 앞서 초기에 거명되던 후보군을 압축하면서 청와대는 제로베이스에서 재검토에 착수, 각계에서 개별 추천을 받은 인물들까지 합쳐 10여명을 챙겼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 과정에서 특히 오 명(吳 明) 아주대 총장의 경우 내정단계에 이르렀다가 과거 5공 참여 전력 등으로 시민단체의 집중포화를 맞으면서 배제됐고 김우식(金雨植)연대 총장도 대학행정 경험과 출신학교 안배 차원 등에서 유력하게 검토됐다가 기여입학제 논란의 덫에 걸려 막판에 밀려났다. 이 때문에 청와대가 시민단체 눈치 보기에 급급하고 있다는 비판론이 제기되기도 했다. 정 보좌관의 자료검토와 개별면접 검증이 이어지면서 인사원칙이 개혁성과 평준화 지지, 공동체 인성교육, 지방대 육성, 세계화 교육비전으로 정리돼 나갔고, 결국 5, 6일 압축명단이 노 대통령의 `테이블'에 올려져 낙점이 마무리됐다. 중반부터 거명되기 시작한 윤 총장의 발탁에는 지하철 참사로 흉흉해진 대구민심이 감안됐다는 분석도 있으나 앞선 조각명단에 대구 출신이 2명이나 포함됐던 탓에 오히려 대구 출신 임명이 부담이 됐다는 관측도 나왔다. (서울=연합뉴스) 고형규기자 khg@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