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에서 극심한 식량난이 생긴 90년대 중반이후 점을 보는 행위가 급증했는가 하면 종교활동이 크게 확대된 것으로 파악됐다. 통일연구원 김병로 선임연구위원은 5일 발간된 `북한 종교정책의 변화와 종교실태'라는 연구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탈북자를 대상으로 한 조사결과, 지난 95년까지 북한에서 1개 시.군에 30여명에 불과하던 점쟁이가 96년 이후에는 무려 100여명으로까지 늘어났다는 것이다. 특히 점쟁이들의 복채가 궁합의 경우 북한 돈으로 100원(圓)이며 미래예언이나 묘자리의 경우 액수가 엄청나 일반 주민들의 월 평균 소득의 몇배를 웃돌 정도라고 이 보고서는 덧붙였다. 북한에서 종교는 사람들에게 환각을 갖게 하는 미신으로서 `주체적 인간'이 믿을 바가 못되는 대상인데 반해, 점(占)을 본다거나 푸닥거리를 하는 것에 대해서는 그다지 거부감을 갖고 있지 않는 것으로 전해졌다. 또 중국내 탈북자를 대상으로 한 개신교 선교활동이 활발해지면서 탈북자들이 다시 북한으로 돌아가 개인적으로 선교활동을 벌이다가 당국의 처벌을 받는 사례도잦은 것으로 알려졌다. 탈북자들에 따르면 현재 북한에는 기독교 전파를 경고하는 현수막이 곳곳에 걸려 있을 정도로 개신교 신자가 늘고 있으며 불법적 종교활동에 대한 처벌과 단속에도 불구하고 불교와 천주교, 천도교 등 각 종단별로 신자가 늘고 있다. 반면 북한은 직면한 식량난 해결을 위해 남한의 종교단체들에 전략적으로 접근하려는 목적으로 조선그리스도교연맹, 조선불교도연맹, 조선카톨릭협회, 조선천도교 중앙지도위원회 등 각 종단의 활동영역을 확대시키고 있다고 보고서는 설명했다. 이를 반영하듯 남북한 종교교류는 90년 2건, 91년 13건, 92년 7건, 93년 1건, 94년 4건이었으나 95년 북한의 수재와 관련, 인도적인 지원이 실시되면서 95년에는 12건으로 늘었으며 김대중 대통령 정부 이후인 98년 35건, 99년 20건, 2000년 21건으로 활발했다. 2001년에는 북한에 강경입장을 취하는 조지 부시 미 대통령 등장으로 남북관계가 경색되면서 남북 종교교류는 9건으로 줄었으며 2002년에는 하반기 이후 남북교류가 활성화되면서 남북 각 종단별로 적극적인 교류와 협력을 전개했다. 김 선임연구위원은 "북한에서는 공식으로 허용된 공간속에서 개인들이 신앙생활을 하고 종교가 국가 또는 당 차원에서 관리되고 있다"며 "그러나 식량난을 계기로 북한사회 내부에 사적 종교활동의 영역이 넓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인교준 기자 kjih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