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공계 대학과 산업 현장간의 교육 커리큘럼 괴리 현상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기업들이 이공계 대학과 공동으로 실시하고 있는 "산.학 연계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가 1백점 만점 기준으로 60점에도 미달,낙제점을 면치 못한 것으로 조사됐다. 대학과 기업계 관계자들은 이같은 문제를 바로잡기 위해서는 산.학간 긴밀한 협력 시스템을 재구축하는 이외에 정부의 체계적인 재정 지원이 절실하다고 입을 모았다. 산업자원부와 산업연구원(KIET)은 지난 6∼7월 전국 대학 및 기업 관계자 8백32명을 대상으로 '산·학 연계 교육현황 실태조사'를 벌인 결과 현장사례를 외면한 교육과정과 산·학 교류부족이 이공계 교육과정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됐다고 13일 밝혔다. 김종갑 산자부 산업정책국장은 "산업체와 따로 노는 대학 교육이 이공계 진학 기피현상을 부추기고 있다"며 "산·학 연계 교육과정에 재정지원을 늘리고 산업 석·박사 제도와 공학교육 인증제를 확대 도입하는 방안을 추진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산업현장과 동떨어진 대학 교육 이공계 대학 교육의 대표적인 문제점(4점 만점)으로 '현장사례를 통한 교육 부족'(3.25)과 '대학·산업체간 교류 부족'(3.21),'실험·실습 여건 미흡'(3.21),'기술개발 추이에 뒤처진 교과과정'(3.03) 등이 꼽혔다. 특히 대학은 '산·학 교류 부족'(3.27)과 '실험·실습 여건 미흡'(3.20)을 문제점으로 지적한 반면 기업은 '사례 교육 부족'(3.35)과 '산·학 교류 부족'(3.19),'낙후된 교과과정'(3.16) 등을 주요 문제점으로 들었다. 산·학 연계 프로그램 성공도(4점 만점)에 대해서는 '공동 연구개발'(2.56)과 '인턴십'(2.39)이 상대적으로 무난하게 자리잡았다는 평가를 받았다. 그러나 '대학 재학생 대상의 주문식 교육'(1.99)은 산·학 연계 프로그램의 가장 큰 걸림돌로 지적됐다. 또 '교원의 기업체 연수·파견'(2.04),'산업체 임직원의 수탁 교육'(2.11),'대학에 대한 시설·장비 지원'(2.11) 등 현재 진행되고 있는 교류 프로그램들에 대해선 대부분 부정적인 응답이 많았다. ◆산·학 연계교육 왜 부진한가 산·학 연계 프로그램 운영과 관련,현재 공동 연구개발을 진행중인 대학은 82.1%에 달한 반면 기업은 17.4%에 그친 것으로 조사됐다. 또 현장실습을 포함한 인턴십을 실시중인 대학은 48.3%,기업은 11.0%에 불과했다. 산·학 협동 학위과정을 운영중인 대학은 39.6%,기업은 6.4%에 머물렀다. 특히 대학에 대한 시설·장비 지원의 경우 현재 지원받고 있는 대학은 31.9%,지원중인 기업은 4.2%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학 연계교육이 활성화되지 못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기업 요구를 반영하지 못한 프로그램'(24.4%)과 '교육 프로그램 간의 상호 연관성 부족'(22.7%),'운영재원 부족'(18.3%) 등이 꼽혔다. 대학은 '운영재원 부족'(28.5%)과 '사회적 인식 부족'(15.9%)에 불만을 드러냈다. 이에 비해 기업은 '기업요구 반영 미흡'(25.4%)과 '교육 프로그램의 상호 연관성 부족'(25.4%)을 문제점으로 들었다. ◆정부 재정지원 시급하다 산·학 연계 교육을 뿌리내리기 위해선 '정부의 재정지원'(66.0%)이 가장 시급하고 '대학평가시 산·학 연계교육 실정 반영 확대'(13.7%)와 '제도 정비'(10.7%)도 서둘러야 할 것으로 지적됐다. 특히 기업(63.2%)보다는 대학(74.4%)에서 정부의 재정지원 확대를 호소하는 목소리가 컸다. 한편 기업 관계자들은 재정지원 다음으로 대학을 평가할 때 산·학 교육실적의 반영 비중을 높여야 한다는 반응(16.8%)을 보였다. 이에 비해 대학 관계자들은 교육실적 반영(4.3%)이나 제도정비(4.3%)보다 공학교육 인증제 확대(7.7%)에 관심을 표시했다. 정부의 지원방향과 관련해선 정부는 재정지원만 해주고 대학과 기업이 자율적으로 산·학 교육 프로그램을 짜야 한다는 응답이 전체의 절반(49.8%)에 달했다. 또 정부가 재정지원과 함께 주요 교육방향도 설정해줘야 한다는 주장이 26.1%,정부가 세부절차까지 수립해줘야 한다는 응답이 18.8%를 각각 차지했다. 특히 대학은 정부가 주요 교육방향만 제시해줄 것(29.5%)을,기업은 세부절차까지 짜줄 것(21.4%)을 각각 주문했다. 정한영 기자 ch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