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동안 도별로 돌아가며 사냥터로 사용했던 순환수렵장 제도는 다른 지역의 엽사들에게 교통의 불편을 초래했다. 더욱이 한 지역에 많은 사람들이 모여들기 때문에 환경이 파괴되기 쉽다는 문제가 제기됐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수렵인들은 대한수렵관리협회를 중심으로 전국에서 사냥이 가능하도록 법을 개정할 것을 정부에 요구해왔다. 이러한 노력이 결실을 맺어 올해 처음으로 전국 11개 군이 수렵장으로 개방됐다. 명목상으로는 전국으로 수렵장이 확대됐지만 도별도 일부 지역에 한정됐다는 것은 또 다른 문제를 야기하고 있어 제도 보완이 시급한 상황이다. 지난 1일부터 수렵이 허가된 전라북도 고창군에는 첫날부터 천여 명이 몰렸다. 한정된 지역에 많은 인원이 몰리다보면 산짐승이나 날짐승 할 것 없이 싹쓸이하게 되므로 환경파괴가 심각하다는 지적이다. 실질적인 전국 수렵장 개방이 필요한 이유가 여기에 있다. 한국사냥견협회 고진채 회장은 "허가를 받은 수렵인들이 전국에서 사냥을 해야만 밀렵도 줄어들고 생태계도 온전히 보존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와 함께 수렵장 허가를 내주고 있는 지방자치단체의 경우 겨울에 많이 찾아오는 철새의 개체 수를 여름철에 파악한 후 수렵을 제한하는 등 불합리한 관행도 시정돼야 할 문제로 제기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