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수의 사상자를 낸 서해교전 발생 이틀째인 30일 합동참모본부 등 군 당국은 전군의 비상경계태세를 강화한 가운데 북한의추가도발 등에 대비, 북한군의 동향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16일 합참에 따르면 해군은 구축함 1척과 초계함 2척, P-3C(해상초계기)를 포함해 평택 2함대 소속 전력을 모두 연평도 해역으로 급파, 북한의 추가도발에 대비하고 있으며, 공군도 KF-16 전투기가 초계비행을 하는 등 경계를 대폭 강화했다. 또 육군 예하 군단과 사단, 해군 함대사령부, 공군 비행단급 부대를 위주로 육.해.공 모든 전선에서 비상대기 경계전력을 늘렸으며, 주한미군측은 정보수집 장비등 각종 전투전력을 최대한 지원키로 하고 구체적인 대응조치에 들어갔다. 그러나 연평도 부근 북방한계선(NLL) 이북 해역에서는 이날 아침부터 평소와 다름없이 북한 어선 30여척이 조업중이나 북한 경비정이 NLL쪽으로 전진 배치되는 등의 특이동향은 관측되지 않고 있다고 합참은 전했다. 우리측에서는 교전 이후 중단된 서해 5도를 오가는 연안 여객선 운항이 이날 낮12시10분 재개됐지만 해당 해역에서 어선 조업은 여전히 금지되고 있다. 이와함께 해군은 서해교전 과정에서 실종된 한상국(27) 중사를 찾기위해 연평도해역을 대대적으로 수색하고 있으며, 구조함인 평택함(2천500t)이 이날 평택항에 입항, 이른 시일안에 침몰된 고속정(PKM 참수리급) 인양작업에 돌입할 계획이다. 군 당국은 서해교전 당시 우리 해군의 대응사격을 받고 화염에 휩싸였던 북 경비정 승조원들 50명가운데 30명이상이 사상한 것으로 추정했다. 국방부와 합참 등 군 당국은 이날 오후 김동신 국방장관 주재로 긴급 대책회의를 열어 북한군과의 근접대치 상황에서 뚜렷하고도 즉각적인 선제공격 위협이 감지되면 경고방송 등의 절차를 생략한 채 곧 바로 대응사격 단계에 돌입하는 쪽으로 현행 교전규칙을 수정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고 있다. 정전협정 위반 문제를 논의하자는 유엔군사령부의 장성급 회담 제의와 관련, 북한은 이날 군정위에 전화통지문을 보내 "서해교전은 정전협정과 관련이 없는 남측의일방적인 NLL 주장 탓"이라며 "회담을 원한다면 NLL을 먼저 제거하라"고 주장했다. 정부는 교전중 전사한 고 윤영하 소령에게 충무무공훈장을 추서하고, 함께 전사한 서후원 중사, 황도현 중사, 조천형 중사 및 실종된 한상국 상사에게 화랑무공훈장을 각각 추서했으며, 장례식은 장정길 해군참모총장을 위원장으로 장의위원회를구성, 7월1일 오전 국군수도병원 영결식장과 오후 국립 현충원 장교 및 사병묘역에서 각각 영결식과 안장식을 갖는 등 해군장으로 치를 예정이다. 한편 서해교전이 발생하기 직전인 지난 27일과 28일 NLL을 침범했던 북 경비정들이 `위협기동'을 심하게 함으로써 `뭔가 일을 저지르려고 하는 게 아니냐'는 우려도 제기됐던 것으로 알려져 합참 등 군 당국이 제대로 정보분석을 하지 못해 사태를키운 게 아니냐는 의문도 군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어 주목된다. lye@yna.co.kr (서울=연합뉴스) 이 유.이성섭 기자 leess@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