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예정된 12개 플랜트 사업장, 총 52조원 규모의 공사가 현장 근로자 확보 문제로 비상이 걸렸다. 당초 외국인 근로자 허용을 검토하던 정부가 강성 노조의 반발을 의식해 결정을 미루고 있어서다. 인력 확보 차질 시 샤힌 프로젝트를 비롯해 주요 플랜트 공사가 줄줄이 공기 지연 사태를 맞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4일 복수의 정부 관계자에 따르면 정부와 플랜트 건설 관련 협회, 기업 등은 지난달 두 차례 ‘플랜트 분야 외국 인력 허용 회의’를 열었지만 노조의 반대에 막혀 결론을 내지 못했다. 회의에 참석한 관계자는 “외국 인력 도입은 정부 외국인력정책위원회와 실무위원회에서 결정해야 하는데 당연직인 양대 노총이 반대하고 있어 결정이 내년 이후로 미뤄질 수 있다”고 말했다.
석유화학과 발전, 제철 산업은 국가 보안 시설로 분류돼 2007년부터 외국인 고용이 금지됐다. 플랜트 분야는 올해만 부족 인력이 1만2688명에 달할 정도로 만성적 인력난에 시달리고 있다. 올해 필요 인력은 14만6788명이었으나 13만4100명이 공급됐다.
내년엔 한국 최대 규모의 석유화학 설비를 짓는 샤힌 프로젝트와 20조원을 투입하는 포스코의 수소환원제철소 등 대규모 공사가 시작돼 인력 부족 현상이 더욱 심해질 전망이다. 내년 플랜트 부문 공사는 12개 사업장에서 최소 52조2000억원 규모에 달한다.
곽용희/김우섭 기자 kyh@hankyung.com
경찰과 소방 노동조합이 장기 근무한 경찰·소방공무원도 국립묘지에 안장돼야 한다고 정부에 촉구했다.
전국경찰직장협의회와 전국공무원노조 소방본부는 4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인근에서 집회를 열고 “장기 복무한 군인은 호국원과 현충원 안장 대상자로 인정하고 있지만 경찰과 소방공무원은 적용되지 않고 있다”며 “대통령은 경찰과 소방공무원을 대상으로 국립묘지 안장 범위를 확대하도록 법을 개정하겠다는 약속을 이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해 박민식 전 국가보훈처장에게 “경찰과 소방관의 국립묘지 안장 범위 확대를 검토하라”고 지시했다. 이와 관련해 두 노조는 “국가보훈부가 연구용역조차 시행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장강호 기자 callme@hankyung.com
민주노총 화섬식품노조 대전충북지부와 라이온켐텍지회는 4일 대전 라이온켐텍 1공장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라이온켐텍은 노동자 생존권을 말살하는 직장폐쇄를 철회하라"고 촉구했다.
노조에 따르면 노조는 사측과 단체협약 후 임금 교섭을 진행하다 이견이 좁혀지지 않자 지난달 7일부터 부분파업에 돌입했고, 사측은 지난 1일부로 전체 조합원을 대상으로 직장폐쇄를 단행했다.
노조 측은 "지난달 30일 노조 지회장과 사측 대표이사가 만나 조속한 실무교섭을 통해 임금협상을 해결할 것을 약속했으면서 불과 다음날 사측이 일방적으로 직장폐쇄를 통보한 것은 명백한 노조 탄압"이라며 "오늘까지 28일간 이어진 부분파업 동안 85명 조합원 중 30여명은 근로를 제공하고 있는데도, 회사 손실에 대해 노조에 책임을 전가하며 생존권을 말살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어 "사측은 조합원들에게 공지 없이 폐쇄회로(CC)TV를 설치해 사찰했고 조합원들을 향해 공개적인 자리에서 일상적으로 욕설을 내뱉으며 모욕해왔다"고 주장하며 "공격적 직장폐쇄를 철회하고 조속한 문제해결을 위해 노사 간 교섭에 성실하게 임하라"고 규탄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