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호 게이트'수사를 맡은 차정일 특별검사팀이 11일 서울 삼성동 한국감정원 7층 특검 사무실에서 현판식을 갖고 본격적인 수사에 착수했다.
차 특검팀은 이날 허용행 변호사와 송해은 우병우 검사 등 7명을 특별수사관에 임명했다.
이정호 기자 dolph@hankyung.com
KT는 20년 넘게 장기 근속한 직원이 60세 정년에 도달하면 2년간 기존 근무지에서 직무를 유지하며 후배들에게 기술과 비결을 전수하는 ‘시니어 컨설턴트 제도’를 두고 있다. 이를 통해 매년 정년퇴직자의 15%를 재고용한다. 강원랜드 협력사인 하이원SC는 인력 확보를 위해 2020년 정년을 63세로 연장하고 정년 이후 촉탁직 재고용을 늘렸다. 올해도 정년퇴직하는 13명 중 10명은 재고용을 선택했다.
극심한 인력 부족에 시달리는 기업들이 중장년 직원의 계속 고용을 통해 돌파구를 모색하고 있다. 고용노동부는 중장년 고용에 앞장선 11개 기업의 사례를 소개한 ‘중장년 고용 우수기업 사례집’을 발간했다고 29일 밝혔다.
쿠크다스, 크라운 산도로 유명한 제과업체 크라운제과는 지방 근무와 생산직, 2교대를 선호하지 않는 청년들로 인해 심각한 인력난에 부딪혔다. 60대 인력을 활용하기로 한 이 회사는 2016년에 정년을 62세로 연장하고 촉탁제를 도입해 정년퇴직한 근로자의 50%를 재고용했다. 회사 관계자는 “경험이 풍부한 장년 직원들이 설비에 발생한 미세한 오류를 귀신처럼 잡아낸 사례도 있다”고 전했다.
현대엘리베이터는 최근 3년간 채용한 경력직의 12%가 중장년이다. 중장년 근로자를 ‘숙련 기술 인력’으로 보고 정년 이후에도 3년간 재고용하는 제도도 뒀다. 후배들에게 숙련 기술을 전수하는 사내 기술교육원 전문 교수로 임용한 사례도 있다.
정보기술(IT) 중견기업 한국정보기술단은 아예 정년을 폐지했다. 업종 특성상 다년간의 경력이 필요한 ‘정보시스템 감리 자격증’이 요구되다 보니 중장년 근로자가 많을 수밖에 없다. 근로자 470명 중 50세 이상 근로자가 74%에 달한다. 임금피크제
KT는 20년 넘게 장기근속한 직원이 60세 정년에 도달하면 2년간 직무와 근무지를 유지하며 후배들에게 기술과 비결을 전수하는 ‘시니어 컨설턴트 제도’를 두고 있다. 이를 통해 매년 정년퇴직자의 15%를 재고용한다. 50세 이상 직원에겐 ‘내일설계휴직제도’라는 자격증 및 창업 준비 과정을 제공해 최대 4년간 휴직을 허용하고, 최대 1년 6개월 동안 기본급 100%를 지급한다.
극심한 인력 부족에 시달리고 있는 기업들이 중장년 직원의 계속 고용을 통해 돌파구를 모색하고 있다. 고용노동부는 중장년 고용에 앞장선 11개 기업의 사례를 소개한 '중장년 고용 우수기업 사례집'을 발간했다고 29일 밝혔다. 대기업부터 중소기업까지 다양한 기업과 업종의 중장년 인력 활용 사례를 담았다.
쿠크다스로 유명한 제과업체 크라운제과는 지방 근무와 생산직, 2교대를 선호하지 않는 청년들이 잘 지원하지 않아 심각한 인력난에 부딪혔다. 이에 60대를 활용하기로 하고 2016년에는 정년을 62세로 연장하고 촉탁제를 통해 정년을 넘긴 근로자의 50%를 재고용했다. 경험이 풍부한 중장년 직원들이 설비에 발생한 오류를 귀신처럼 잡아낸 사례도 있다.
현대엘리베이터는 최근 3년간 채용한 경력직 중 12%가 중장년이다. 중장년 근로자를 숙련 기술 인력으로 분류하고 정년퇴직 이후에도 3년간 재고용하는 제도를 뒀다. 아예 후배들에게 숙련 기술을 전수하는 사내 기술교육원의 전문 교수로 임용한 사례도 있다.
IT 중견기업 한국정보기술단은 정년을 폐지했다. 업종 특성상 다년간의 경력이 필요한 '정보시스템 감리 자격증'이 필요하다 보니 중장년 근로자가 많을 수밖에 없다. 근로자 470명 중 50세 이상 근로자가 74%에 달한다
산림청은 내년 비전문취업(E-9) 비자로 들어오는 외국인 근로자 1000여 명을 임업 분야에 최초로 도입한다고 29일 밝혔다.
재외동포 근로자를 고용할 수 있는 방문취업(H-2) 허용도 출입국관리법 시행령 개정 이후에 시행하기로 했다.
이번 제40차 외국인력정책위원회에서 결정된 임업 신규 허용 업종은 임업 종묘 생산업, 육림업, 벌목업, 임업 관련 서비스업이며 사업자등록증에 해당 종목이 있어야 한다.
업종 중에서도 산림사업시행법인(산림사업법인, 국유림영림단 중 법인, 산림조합, 산림조합중앙회, 원목생산법인)과 산림용 종묘생산법인이 임업 단순 종사원 고용을 내년 7월부터 신청할 수 있도록 추진해 9월부터는 현장에서 외국인 근로자 고용이 가능하게 할 계획이다.
산림청은 내년 상반기까지 외국인 근로자의 원활한 정착과 사업주의 안정적 운영을 지원하기 위해 교육훈련, 체류 관리, 고용업무 대행 기관 지정 등 관리체계를 구축할 예정이다.
상시 근로가 어려운 계절성이 강한 임산물 재배 분야는 계절 근로 도입을 위해 법무부와 협의 중이다.
남성현 산림청장은 “임업 분야 외국인 근로자 도입은 산림 사업자들의 오랜 바람”이라며 “산촌의 인력 부족 해소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대전=임호범 기자 lhb@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