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자원부가 현재 2개 대학을 대상으로 시범실시하고 있는 공학교육 인증사업을 연차적으로 확대하겠다고 나섰다. 산업체가 요구하는 우수한 인력은 공급부족이고, 여기에 이공계 기피현상까지 심화되는 현실에서 이 시범사업이 제도적으로 잘만 정착되면 새로운 전환점이 마련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산업체가 전문성과 능력을 갖춘 인력확보에 애로를 겪는 것이 어제 오늘의 문제는 아니지만 구직난 속에 구인난을 야기할 정도로 인력의 미스매치가 심화된다는 것은 큰 문제다. 특히 대학에서 배출되는 인력의 질이 낮고 현장적응력이 떨어지다보니 기업이 떠안아야 할 재교육 부담도 날로 가중되는 실정이다. 더욱 우려스러운 것은 대학의 수학능력 시험 응시자수에서 자연계 비율이 급감하고 있다는 점이다. 95년에 43%를 차지하던 자연계 비율이 금년에는 27%로 6년 사이에 16%포인트가 떨어졌다. 게다가 이공계 입학생의 수학(修學)능력도 크게 저하됐다는 평가가 지배적이고 보면 중장기적으로 우수인력 확보에 비상이 걸린 것이나 다름없다. 한마디로 산업기술 인력수요에 직결돼야 할 공대의 교육이 전·후방 양쪽에서 위기에 직면한 형국이다. 이러다보니 초등학교에서부터 과학교육이 달라져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사회적으로 과학기술인이 우대받는 풍토를 조성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하지만 이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더불어 공대 교육이 달라지지 않으면 해결의 실마리를 찾기 어려울 수 있다. 수요자 중심으로 프로그램을 개편하고 교육의 질을 높이는 노력이 있어야 하지만,문제는 이것이 저절로 이뤄질 것으로는 기대하기 어렵다는데 있다. 공학교육 인증사업은 이런 점에서 출발점이 될 수 있다. 인증이 도입되면 교육내용이 향상될 것이며 상호간 경쟁도 일어날 것이다. 그 결과 배출된 인력이 시장에서 우대받게 되면 이는 다시 인력 유인의 촉진제로 작용할 것이다. 미국이 세계적 수준의 대학을 보유하게 된 것도 실은 공학교육 인증제에 힘입은 바가 크다는 점만 생각해 봐도 그 파급효과는 능히 짐작할 수 있다. 현재는 일부 대학만이 대상이지만 궁극적으로 전체 공과대학을 대상으로 인증사업이 실시돼야 할 것이다. 대학의 참여도를 높이고 인증의 공신력을 제고하는 과제가 남아있지만 산자부와 함께 교육부가 적극 참여한다면 제도적인 정착이 그리 어려운 문제만은 아닐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