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기업들의 능력주의 인사제도 도입 붐을 반영, 임금구조의 양극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구조의 고도화로 신(新)직종이 속속 출현, 고급 인력에 대한 수요가 점점 늘어나고 있는데다 외환위기 이후 비정규직 근로자 비중이 증가함에 따라 이같은 경향은 더욱 가속화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LG경제연구원은 5일 노동부의 '임금구조 기본 통계조사 보고서'의 자료를 인용, 1990년대 중반 이후 근로자 계층별로 임금소득의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특히 월평균 소득 2백만원 이상 근로자가 전체 근로자 가운데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 94년 5.7%에서 95년 10.0%, 97년 20.4%, 2000년 26.6% 등으로 급등, 중간 임금계층에 비해 고임금층 비중이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고 소개했다. 김성식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부가가치가 큰 첨단산업 비중이 높아지면서 고급 인력에 대한 수요가 늘어난 것도 큰 원인"이라고 설명했다. 낮은 수준의 임금을 받고 일하는 근로자 역시 늘어나고 있어 임금구조의 계층별 양극화가 두드러지고 있다. 외환위기 이후 전체 임금근로자 가운데 시간.계약.일용직 등 비정규직 근로자들의 비중이 급증(지난 9월 현재 51.4%)한 탓이라는 분석이다. 비정규직인 임시직과 일용직 근로자의 임금 수준은 지난 9월 기준으로 각각 상용직의 54.7%, 41.2%에 불과하다. 이방실 기자 smil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