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한국전쟁 연구 동향 파악과 미귀환 국군포로 문제 해결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한.중 국제학술 세미나가 25일 오전 서울 용산 전쟁기념관에서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주관으로 개최됐다. '한국전쟁중 중국의 참전전략과 포로문제'를 주제로 열린 이 세미나는 중국측에서 리둔츄(李敦球) 사회과학원 연구원, 뉴 쥔(牛軍), 양쿠이쑹(楊奎松) 베이징대학교수, 리 제(李捷) 중공중앙문헌연구실 연구원이, 한국측에서 조성훈(趙成勳)군사편찬연구소 연구원, 이종석(李鐘奭) 세종연구소 연구위원 등이 각각 참석했다. 조성훈 연구원은 "지난 51년 8월 1일자 노동신문에 실린 북한 인민군 총사령부관련 보도에 따르면 유엔군(국군 포함) 포로는 10만8천257명으로, 이는 포로규모를추정하는 강력한 근거"라고 주장했다. 북한은 그러나 지난 81년 평양 과학백과사전출판사에서 펴낸 '조선전사'에서는"포로수를 미군 40만5천여명, 남한군 113만여명 등 모두 156만7천128명으로 밝혔다"면서 증가된 부분에 대한 책임있는 해명이 있어야 한다고 그는 말했다. 그는 또 "북한은 당시 전쟁포로를 대상으로 인적사항과 귀향 희망지 등을 설문형식으로 받은 '전쟁포로 등록 조사서'를 작성했다"면서 "이를 무시하고 북한주민또는 인민군으로 강제 편입했거나 수용중 희생된 것으로 추정되는 7만여명의 포로행방에 대해서도 해명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미귀환 포로 송환 대책과 관련, "일방적인 송환요구는 장기간 소모논쟁에휘말릴 공산이 커 중국과 러시아를 통한 간접 접근법을 모색해야 한다"며 "북측에돌아가길 희망하는 일부 빨치산 출신과 전향 장기수 등과 맞교환하는 방안도 검토돼야 한다"고 제안했다. 중국측 리 제, 리 둔츄 연구원 등은 중국정부의 한국전쟁 관련 문서의 비공개행태를 지적한 뒤 "지난해 전쟁 50주년을 맞아 참전 결정 과정과 휴전회담을 연구하는데 귀중한 9편의 자료 등 현재까지 310건의 한국전쟁 관련 문서가 공개됐다"고 말했다. 이들은 그러나 "군과 당 계통의 연구자를 비롯 대학 등에서 중국 및 러시아의자료를 인용한 한국전쟁 연구활동이 활발이 진행되고 있다"면서도 "여전히 북한의자료는 접근하기가 어렵다"고 덧붙였다. (서울=연합뉴스) 김귀근 기자 sknkok@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