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1일 뉴욕과 워싱턴에서 발생한 동시다발 테러의 영향으로 북미 대화의 재개가 더욱 늦춰질 전망이다. 미국의 한반도 전문가들은 14일 백악관과 국무부 등 미국의 행정력은 온통 테러사태의 후유증 해결에 매달려 있기 때문에 당분간 북미 대화는 정책 우선 순위에서 뒷전으로 밀릴 수밖에 없을 것으로 분석했다. 올 1월 미국의 새 행정부 출범과 함께 전면 중단된 북미 대화는 지난 6월6일 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의 대북 협상 재개 방침 천명 이후 양측이 의제를 놓고 샅바싸움을 벌이던 중이어서 늦어도 10월께에는 재개될 공산이 큰 것으로 점쳐져 왔다. 한반도 전문가들은 그러나 이번 테러로 자존심이 크게 구겨진 미국은 이미 사실상의 선전 포고와 함께 준(準)전시 체제에 돌입한 상황으로 다른 곳에 신경을 쓸 여유가 없고 전쟁이 실제로 벌어지면 더욱 바빠질 것이 분명하다고 지적했다. 데이비드 스타인버그 조지타운대학 아시아연구소장은 "테러 사태로 미국의 정책우선 순위가 바뀌었다"며 "부시 행정부는 현재 테러 배후 규명과 보복에 전력을 기울이고 있어 북미 대화 재개에 대한 관심은 자연 소홀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스타인버그 소장은 특히 부시 행정부내의 일부 강경파가 북한에 대한 경계심을 더 키울 가능성이 있다고 말하고 그러나 6개월만에 재개되는 남북 대화가 긍정적인 결과를 내놓는다면 지난 3월의 김대중-부시 정상회담 당시 불거진 한미 양국의 이견해소는 물론 북미 대화 재개에도 좋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내다봤다. 피터 벡 미(美)한국경제연구원 연구부장도 "사상 초유의 테러로 미국의 경계심이 최고조에 달한 상태이기 때문에 북미 대화가 정책 우선 순위에서 밀리는 것은 물론이고 미국이 당분간은 아예 협상에 나서지도 않으려 들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게 됐다"고 말했다. (워싱턴=연합뉴스) 이도선 특파원 yds@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