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A교실] '조직구조.통제시스템 일관화'..경영전략.시장특성맞아야성공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기업이 높은 성과를 내기 위해서는 두 가지 종류의 적합성을 성취해야 한다.
그 하나가 외적 적합성으로 시장 환경의 특성과 경영 전략간의 적합성을 말한다.
다른 하나는 내적 적합성으로서 경영 전략과 조직구조 및 인센티브 시스템 간의 적합성이다.
환경과 시장의 특성에 맞게 경영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는 것은 기본적인 명제라고 말할 수 있다.
기업이 시장환경의 특성과 기업의 역량 및 자원을 고려해 전략을 수립,소비자들이 필요로 하는 것을 충족시켜 줄 때 외적 적합성이 성취된다.
1930년대 포드 자동차는 외적 적합성의 부재로 손실이 누적된 대표적인 예다.
소비자들은 자신들의 취향에 맞는 자동차를 갖고자 하는데 이 회사는 하나의 모델만 값싸게 생산하는 전략을 취함으로써 소비자들로부터 외면당했다.
잠재적 고객의 구체적인 필요를 확인하지 않고 기술에만 관심을 뒀기 때문에 실패한 많은 신생 기업들도 외적 적합성의 부재로 인한 실패 사례로 볼 수 있다.
전략의 효율적 실행은 내적 적합성을 요구한다.
즉 경영전략은 효율적 실행을 위한 구조와 통제시스템을 필요로 한다.
전략 실행의 주체는 기업 구성원이기 때문에 이들의 노력과 능력을 기업 목표달성을 위해 효율적으로 통합해 주는 구조가 필요하고 개별 구성원과 각 부문들이 맡은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도록 동기를 부여할 수 있는 인센티브와 통제 시스템도 요구된다.
1950년대 크라이슬러사는 GM과 같이 고객이 원하는 다양한 자동차를 생산하여 판매한다는 전략을 취했다.
그러나 사업부 구조가 아닌 중앙 통제형 구조를 사용함으로써 전략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없었다.
즉 외적 적합성은 성취하였으나 내적 적합성의 부재로 인하여 위기에 처했다.
그러면 내적 적합성은 어떻게 성취할 수 있을까.
우선 경영 전략에 적합한 상부 구조를 설계해야 한다.
여기서 상부 구조란 기업의 전체적인 틀로서 기능식 조직,사업부제 조직,매트릭스 조직,팀제 조직 등을 의미한다.
한정된 품목에서의 지리적 확장전략이나 수직적 통합전략을 사용할 때는 기능식 조직이 많이 사용된다.
성격이 서로 다른 여러 가지 사업을 추진할 때는 사업부제나 지주회사제도가 적합하다.
일상적 의사결정을 사업부내에서 결정하도록 함으로써 최고경영자는 전략적 의사결정에 몰입할 수 있기 때문이다.
기능과 제품을 동시에 강조할 필요가 있거나 지역과 제품을 동시에 강조할 필요가 있을 때는 매트릭스 조직이 많이 활용된다.
다음으로 해야 할 일은 경영 전략과 상부 구조에 근거해 부문의 전략을 정하는 것이다.
상부 구조가 사업부제로 되어 있을 때 각 사업부가 취할 경쟁전략을 결정해야 하고 기능식 조직으로 돼 있을 때는 부서의 장단기 목표와 예산을 결정해야 한다.
다음으로 상부 구조와 부문의 전략을 고려하여 부문의 세부구조를 결정해야 한다.
부문내 구성원간의 분업의 정도,계층의 수,관리의 폭,부문을 운영하는 규정과 규칙 등의 제정이 요청된다.
모든 부문에 적합한 세부구조는 없으며 상부 구조와 부문의 전략에 의해 결정되는 부문내 업무의 특성에 알맞은 세부구조를 설계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해야 할 일은 각 부문이나 기업 구성원들이 맡은 바 업무를 충실히 수행할 수 있도록 인센티브와 통제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다.
구성원들이 전략의 실행에 필요한 역량을 축적하도록 하고 전략의 실행에 요청되는 행동을 하도록 만드는 것이 인센티브와 통제 시스템이다.
좋은 전략을 수립했다고 하더라도 구성원들이 전략 실행에 요청되는 행동을 하지 않는다면 기업이 경쟁력을 가질 수 없기 때문이다.
인센티브와 통제 시스템은 기업이 구성원들에게 어떤 행동을 요구하는지를 알려 주고 구성원들의 어떤 행동을 바람직하게 여기는지를 알려 준다.
우리는 경영 전략과 인센티브 시스템이 일관화돼 있지 않는 예를 많이 관찰한다.
예를 들어 기업체에서 마케팅 부서의 평가는 매출액으로 하고 생산 부서의 평가는 생산에서의 효율성으로 한다고 해보자.마케팅 부서에서는 매출액을 높이기 위해 생산 부서에게 소비자들의 다양한 취향에 맞는 제품을 생산해 줄 것을 요구할 것이지만 생산 부서에서는 생산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소품종 대량생산을 하려 들 것이다.
인센티브가 잘못 설계돼 부서가 협동하지 않아 기업의 성과가 줄어드는 예다.
요컨대 기업이 높은 성과를 내기 위해서는 우선 시장 상황에 알맞은 전략을 설계해야 하고 이에 적합한 조직 구조와 인센티브 및 통제 시스템을 설계해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최고경영자에게 기업 전체를 볼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한 것이다.
이경묵 < 서울대 경영대학 교수 >
< 한경-매니저소사이어티 공동기획;www.managersociet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