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경제는 민간소비와 민간투자의 본격적인 회복에 애로를 겪으면서 회복시기는 4/4분기 이후에나 될 것으로 전망됐다. 미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의 지속적인 금리인하 정책이 소비심리의 회복에 얼마나 영향을 주고 세금환급에 따른 경기진작 효과의 본격화가 관건으로 지목됐다. 재정경제부는 20일 국제금융센터의 '최근 발표되는 미국경제지표 동향과 경기회복 전망'이란 보고서를 인용, 이같이 밝혔다. 센터는 지난 1월3일부터 시작된 FRB의 지속적인 금리인하 정책이 실물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금리인하→기업 수익개선→증시활황→부의 효과 작동→민간 소비심리 회복)는 통상 6∼9개월의 시차가 존재, 늦어도 9월 이후에는 경기진작 효과가 날 것으로 전망했다. 이와 함께 최근 의회를 통과한 부시행정부의 감세조치가 하반기에 본격적으로 집행되면 조기 회복에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3/4분기중에 400억달러 등 연말까지 1,000억달러가 환급될 예정이며 이에 따른 국내총생산(GDP) 증가율 상승효과는 0.4%∼0.75%로 추정되고 있다. 다만 올 하반기부터 본격적인 경기회복을 전망하던 주요 투자은행들도 최근 전망치를 하향 조정하는 등 기복이 심해 현 시점에서 회복시기를 판단하는데는 불확실성이 많다고 센터는 설명했다. 향후 미국경제의 회복여부는 GDP의 70% 정도를 차지하고 있는 민간소비의 향방에 달려있음을 감안하면 최근 소비자신뢰지수가 혼조세를 보여 민간소비의 회복여부 판단은 아직 이른 것으로 판단되다. 또 고용지표의 악화가 민간소비 및 민간투자 회복에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GDP의 약 14%를 점유하는 민간투자의 부진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미 제조업협회(NAPM) 제조업활동지수가 2월이후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비제조업활동지수도 4, 5월 처음으로 기업활동의 위축을 나타내는 50선이하로 떨어져 제조업 부문의 부진이 비제조업으로 확산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에 따라 향후 미국 기업의 민간투자마인드의 조속한 회복여부는 현재 매우 불투명한 실정이라고 보고서는 전했다. 한경닷컴 이준수기자 jslyd012@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