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자칼럼] 명당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대원군 이하응만큼 풍수지리설의 열렬한 신봉자도 없었다.
그는 대권을 잡기전 땅의 신비를 기록한 비기류(秘記類)의 책을 열심히 읽었다고 한다.
그리고 명당을 찾아 부친 남연군의 묘소를 충남 예산 덕산에 썼다.
차남이 고종으로 등극한 것을 부친의 묘소를 명당에 써서 발복한 것으로 믿었다.
경복궁 중수과정에서도 관악산의 화기를 막기 위해 해태상을 광화문앞에 두도록 했다든지 그것도 모자라 관악산 꼭대기에 우물을 파고 구리로 만든 용을 넣어 화기를 진압토록 했다는 기록은 그가 풍수설의 신봉자였음을 잘 보여준다.
풍수설의 핵심은 지기(地氣)가 왕성한 곳을 '명당'이라 하여 이곳에 무덤을 쓰면 그 자손이 번창하고, 그곳에 집을 지으면 집안의 운세가 크게 떨친다는 것이다.
살 집의 명당을 찾는 것이 주였으나 조선후기부터 묘자리 명당을 찾는 것으로 변했고 근래에는 묘자리 만이 아니라 땅 투기열풍에 편승해 '명당설'이 난무하고 있다.
빌라 한 채를 지어도 지세가 '봉황이 알을 품은 형국'은 돼야 잘 팔린다는 정도다.
지금도 명당에 조상을 모시려는 일부 인사들의 명당찾기 노력을 보면 신라말에 중국에서 전래된 풍수설의 끈질긴 영향력에 놀랄 수밖에 없다.
자민련의 김종필 명예총재가 부모의 묘를 왕기(王氣)가 서려 있다는 예산 산막산으로 이장했다고 해서 화제가 되고 있다.
때가 때인 만큼 대단한 흥밋거리다.
땅속의 지기가 인간의 길흉화복에 영향을 준다는 신비적 풍수설은 객관적으로는 전혀 설명이 불가능하다.
학계에선 호족들이 자기네 근거지를 명당으로 삼아 자신의 존재를 정당화시켰던 고려시대로 풍수설의 긍정적 역할은 끝났다고 보고 있다.
그 풍수설이 다시 되살아나고 있는 까닭은 정당치 못한 방법으로 권력과 재물을 획득한 사람들이 심리적 불안을 달래기 위해 신비적 요소에 기대려는데 있다고 분석한다.
일찍이 다산 정약용은 풍수설을 '꿈속에서 꿈꾸는 것이고 속이는 속에서 또 속이는 것'이라고 했다.
그럴리는 없겠지만 지도층이 운명이나 신비에 빠져버리는 것은 지극히 경계해야 할 퇴행현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