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오후 1시 인천항 제1부두에 호주산 생우(生牛) 6백63두가 올해부터 발효된 쇠고기시장 완전개방조치에 따라 처음으로 국내에 직수입됐다.

이에 대해 한우농가들은 수입소에 사료를 공급하는 업체의 사료는 쓰지 않겠다며 반발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농림부는 2010년까지 2조4천억원을 투입해 한우(韓牛)산업을 집중 육성하겠다는 대책을 내놓았다.

시장개방과 방어라는 두가지의 쇠고기시장 대책이 맞닥뜨린 하루였다.

◇향후 생우 도입전망과 파급효과=생우수입의 경제성이 명확지 않아 파급효과를 가늠할 수 없지만 일단 생우수입의 물꼬가 트인 만큼 수입 생우 수는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전문가들은 이날 인천항에 들어온 생우의 경제성이 잣대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수입가격과 사육비를 제외하고 적정이윤이 남을 경우 의외로 생우수입이 늘어나 한우농가에 타격을 줄 수 있다.

농림부는 수입생우의 원산지가 국내산으로 변경되더라도 한우로 둔갑하는 것을 방지할 계획이다.

하지만 6개월 이상 사육된 소의 경우 유통과정에서 한우 대신 국내산 육우로 표시돼 사실상 한우취급을 받을 수 있게 된다.

이렇게 볼 때 수입 생우가 의외로 경쟁력을 가질 수 있다고 보는 시각이 적지 않다.

◇한우산업발전 대책=농림부는 올해부터 쇠고기시장이 개방됨에 따라 한우발전 10개년 계획을 내놨다.

이 계획의 모델은 일본의 화우(和牛)산업이다.

10년전인 91년에 시장을 개방한 일본이 어떻게 화우를 특화해 국내 시장을 지켜냈는지를 밀착연구,그 결과를 담은 것이 한우대책이다.

농림부는 우선 2010년까지 2조4천억원을 투입할 예정이다.

이 돈은 △한우 송아지생산을 획기적으로 늘리고 △한우를 개량해 우수혈통을 관리하는 한편 △한우브랜드 개발과 유통시설 및 제도를 선진국 수준으로 고치는 데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농림부는 현재 1백47만두에 불과한 한우사육두수를 2백25만두로 확대,한우 공급물량을 충분히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이렇게 되면 한우 자급률은 일본 화우(35%)보다 높은 36%를 유지할 수 있다.

또 제주도 1백11개소에 송아지 생산목장을 조성,제주도를 명실상부한 ''한우개량생산기지''로 육성할 방침이다.

고기완 기자 dadad@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