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원이 9일 회사정리절차 폐지 결정을 내림에 따라 지난 56년동안 한국건설사의 주역으로 활동했던 동아건설이 영욕의 세월을 접고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게 됐다.

업계 관계자들은 이번 사태를 지켜보며 "동아건설만한 기술력과 인력을 갖춘 회사가 다시 나오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며 안타까워했다.

그들은 "동아건설이 파산의 지경에 이른 것은 정부의 무리한 시장개입이 낳은 정책실패"라고 까지 말한다.

정부는 전문가들의 수많은 반대를 무시하고 워크아웃제도를 도입했다.

그 첫번째 사례가 동아건설이었다.

그리곤 쓰러져가는 중소건설업체 수백개를 살리고도 남을 수천억원의 자금을 쏟아부었다.

그후 동아건설 문제를 풀어가는 과정에서 우리 경제 사회의 총체적인 부실상을 보여줬다.

자산실사과정에서는 7천억원에 달하는 분식을 저질렀다고 고백하는 어이없는 일이 벌어지기도 했다.

경영간섭에 가까울 정도의 지나친 노조활동을 문제점으로 지적하는 사람들도 많다.

동아건설은 99년초 채권단이 1조8천억원을 출자전환해 주기로 해 정상화의 수순을 착착 밟아가고 있었다.

그러나 노조가 당시 전문경영인으로 영입된 고병우회장 퇴진운동을 벌이면서 출자전환을 위한 양해각서(MOU)체결이 무산돼 절호의 회생기회를 놓치고 말았다.

이 과정에서 경영실패에 대한 책임을 지고 사임했던 최원석 전 회장도 경영일선 복귀를 시도해 내분을 부추겼다.

"당시 노조조합원들이 스스로 회생이 기회를 걷어찼다"며 안타까워 하는 직원들이 많다.

관료들의 무사안일도 한 몫을 했다.

정부는 리비아공사를 탈없이 수행하겠다는 말만 반복할 뿐 어떤 대책도 내놓지 못하고 있다.

"사태의 당사자는 채권단과 법원이기 때문에 정부는 할 수 있는 일이 많지 않다"는 게 건교부의 설명이었다.

그러나 리비아정부가 35억달러에 달하는 손해배상청구소송을 제기해 두고 있는데다 리비아시장이 건설수주 1,2위를 다툰는 곳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너무 안일한 대응이었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채권단의 도덕적해이는 결국 자신들의 발목을 잡는 결과를 만들고 말았다.

동아건설 퇴출이 가져올 만만찮은 역기능을 만회할 수 있도록 지금부터라도 뒤늦게나마 머리를 맞대는 지혜를 발휘할 것을 기대해본다.

백광엽 기자 kecore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