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식회계 및 불법대출 혐의로 기소된 대우전자의 전주범,양재열 전 사장,박창병 전 부사장 등 전 임원 3명과 대우전자 법인에 대한 첫 공판이 2일 오전 서울지법 형사합의21부(재판장 장해창 부장판사) 심리로 열렸다.

이날 공판에서는 전 전 사장 등에 대한 재판부 인정신문을 거쳐 대우전자의 3조7천억원대 분식회계 및 9천5백56억원대 불법대출 혐의에 대한 검찰과 변호인 신문이 진행됐다.

박 전 부사장은 검찰 신문에서 "김우중 회장에게 당기순이익을 얼마로 내야 할지 확인을 받아달라고 사장에게 요청했었다"며 "김 회장을 직접 만났을 때 결손을 내지말라고 지시해 실무적으로 흑자가 난 것으로 장부를 작성했다"고 밝혔다.

양 전 사장도 "대규모 자본잠식과 적자를 감추기 위해 김 회장으로부터 지시를 받아 흑자로 조작하지 않았느냐"는 검찰 질문에 "결과적으로 그렇게 됐다"고 시인했다.

이들은 그러나 "허위 재무제표로 우량한 신용등급을 받고 이를 근거로 신용대출과 회사채 발행이 이뤄진 것은 사기"라는 검찰 신문에 대해서는 "관행이었으며 사기의도는 없었다"거나 "자신의 재직시절 이뤄진 대출이 아니다"고 혐의를 부인했다.

이들은 "대출과 회사채 발행중 일부는 사후보고만 받았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적자결산을 하게 되면 세계경영을 위한 외환차입 등 차질이 우려돼 부득이 분식회계를 하게 됐다"며 "사회적 물의를 일으킨데 책임을 통감한다"고 말했다.

검찰은 신문에 앞서 "대우그룹의 분식회계와 사기대출로 제2의 경제위기가 초래됐다"고 질타했다.

한편 41조원대의 분식회계와 10조원의 사기대출 혐의로 기소된 대우그룹 5개 계열사중 ㈜대우와 대우자동차 대우중공업 등 3개 계열사의 첫 공판과 대우전자 2차공판은 오는 13일 열린다.

정대인 기자 bigm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