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안학교와 공교육은 끝내 충돌할 수밖에 없는가.

2002학년도 중학교 의무교육 전면화를 앞두고 당국이 ''대안중학교''에 대해 해산명령을 내려 갈등이 빚어지고 있다.

특히 경기 부천지역의 일부 학부모들이 자녀들의 정규 초등학교 취학을 거부하고 미인가 대안초등학교 설립을 추진하고 있어 논란이 심화되는 양상이다.

대안학교란 서구 교육계의 ''얼터너티브 스쿨''에서 나온 말로,당초 우리나라에선 중도 탈락한 중.고교생들을 구제하기 위한 교육기관으로 출발했었다.

그러나 최근엔 억압적인 입시교육에서 벗어나 좀 더 다양하고 자유로운 교육환경을 선호하는 학부모들이 늘어나면서 우수학생들까지 대안학교를 찾고 있다고 한다.

금년도 11개 특성화고교의 신입생 모집에는 경쟁률이 최고 10대 1을 웃돌았다는 소식이다.

지금까지 대안교육은 공교육과는 보완적 협력관계를 유지해 옴으로써 별다른 마찰이 없었다.

그러나 대안교육이 고등학교를 벗어나 의무교육 영역인 중학교와 초등학교를 넘보자 공교육체제가 눈을 부라리기 시작한 것이다.

현재 법을 어기면서까지 자녀를 학교에 보내지 않고 이른바 ''홈 스쿨링(Home Schooling)''을 고집하는 가정이 적어도 1백여가구에 이른다는 것이다.

미인가 중학교에 자녀를 보낸 학부모들도 의무교육을 거부하기는 마찬가지다.

국내외를 막론하고 새로운 시대에 맞는 새로운 교육체제를 만들기 위한 노력이 국가적 과제가 되고 있는 현실을 감안할 때 대안교육에 대해 교육당국은 좀더 전향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구미 선진국에서 홈 스쿨링이 오래전부터 합법화 된 것은 당연하다 치더라도 공교육의 엄격성에서 둘째 가라면 서러워할 일본까지도 70년대부터 대안학교와 유사한 ''프리스쿨''을 전국적으로 운영해 오는 등 교육체제의 다양화에 적극성을 보이고 있는 현실이다.

실정법만을 내세워 새로운 교육적 시도를 봉쇄하려 한다면 시대착오적이라는 비판을 면키 어렵다.

꼭 교육분야만 해당되는 것은 아니지만 ''대안''이 있다는 것은 결코 나쁜 일이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