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처기업들의 상당수가 도산하고 창업이 위축되는 ''벤처 겨울''이 도래할 가능성이 있는 만큼 업계와 당국의 적극적 대응이 시급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벤처기업들이 마케팅과 철저한 시장조사를 바탕으로 우수한 기술을 상품화해 실제 수익을 올려 현재의 위기를 극복해야 한다고 지적됐다.

삼성경제연구소는 7일 ''벤처 침체와 새 활로''라는 보고서에서 벤처 위기의 핵심은 유동성 부족이라며 올 하반기 들어서는 벤처산업이 회복할 것이라는 섣부른 낙관은 금물이라고 밝혔다.

미국경제가 경착륙할 가능성이 있고 미국 정보기술(IT) 산업이 급속히 악화되고 있을 뿐 아니라 국내에서도 구조조정이 지연되고 금융불안이 계속되고 있기 때문.

연구소는 지난 99년과 같은 벤처붐의 조건이 다시 갖춰지기는 힘들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에따라 벤처업계 구조조정이 상당기간 진행되면서 자금력이 약한 기업들은 도태될 수 있으며 부도에 따른 위험 때문에 한동안 창업을 기피하는 현상도 나타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정연승 삼성경제연구소 연구원은 "국내 벤처는 우수한 기술력을 가지고도 마케팅 노하우나 디자인 능력 등이 뒤떨어져 국제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며 "시장의 욕구를 기술개발 단계에서부터 파악해 타깃 고객층의 구미에 맞는 상품을 개발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부는 벤처산업에 직접 개입하기보다 마케팅 재무 법률서비스 등 벤처기업이 각종 경영지원 기능을 강화해 나갈 수 있도록 인프라를 확충해주는 게 바람직하다고 주장했다.

이방실 기자 smil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