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성장률 5년만에 최저(31일)'' ''제조업지수 10년만에 최저(1일)'' ''실업률 2년여만에 최고(2일)''….

경기 침체를 알리는 경보음이 연일 울리면서 미국 경제가 마이너스 성장으로 곤두박질칠지 모른다는 우려가 짙어지고 있다.

그러나 "경기후퇴는 없다"는게 올해 미국 경제를 바라보는 전문가들의 공통된 시각이다.

경제뉴스 전문사이트인 CBS마켓워치는 이코노미스트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벌인 결과 미 경제가 올해 1분기 동안 평균 0.9%의 성장을 보일 것으로 전망됐다고 3일 보도했다.

이런 낙관의 근거는 △미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의 적극적인 통화정책(금리인하) △주식 및 채권시장 회복세 △기업 자금난 완화 △세금감면안 실시 △신규고용 강세 등이다.

우선 금리인하는 소비심리를 안정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금리가 낮아지면 주가와 채권시장이 회복된다.

일반 가정의 보유증권 가치가 높아져 부가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그렇게 되면 소비심리가 되살아나고 지출도 늘어난다.

특히 지난 4.4분기의 경제성장 둔화는 자동차 판매부진 탓이 컸다.

이 기간 자동차 판매는 12.7% 줄었다.

그러나 올 1월에는 전년대비 1천7백20만대 증가하는 등 상승곡선을 그리고 있다.

주가 및 채권시장도 호전되고 있다.

특히 회사채 금리가 떨어지면서 기업 자금난에 숨통이 트였다.

실제로 지난 1월 미국의 회사채 발행액은 8백60억달러로 월별 기준으로는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올 여름께 감세안이 통과되면 금리인하와 함께 경기를 부양시키는 쌍두마차가 될 것으로 전문가들은 기대하고 있다.

감원 열풍에도 불구하고 신규 고용이 크게 늘고 있다는 사실도 미 경제 낙관론에 무게를 더해주고 있다.

지난 1월 신규 고용은 26만8천명(농업 제외)에 달했다.

지난해 4월 이후 최고치다.

비록 이날 발표된 1월 실업률이 4.2%로 4월 이후 최고치였지만 이는 감원 등에 따라 노동시장에서 인력공급이 급증한데 따른 현상이다.

전문가들은 신규 고용이 여전히 강세를 띠고 있어 감원에 따른 부작용을 상쇄시켜 주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러나 침체는 피하더라도 미국 경제의 저성장 추세는 당분간 불가피할 전망이다.

FRB의 금리인하가 효과를 발휘하기까지는 길게는 2년, 평균잡아도 1년반 정도 걸린다.

소비와 기업 지출에 본격적인 약효가 발휘되자면 2002년초까지는 기다려야 한다는 얘기다.

감세안은 더 긴 시간이 걸린다.

따라서 금리인하나 감세가 심리적 효과는 있겠지만 당장 경기를 회복시키는 데는 한계가 있다.

파이낸셜타임스는 이와 관련, 4일자 사설을 통해 "민간 부문의 적자가 앞으로 2년여동안 GDP 대비 6% 수준에 머무르고 경상적자 역시 GDP 대비 4.5% 수준을 지속할 것"이라며 "이런 상황에서 금리인하와 감세만으로는 역부족"이라고 지적했다.

이 신문은 "당장의 침체국면은 모면할지 모르지만 지금까지 누렸던 장기호황 추세를 되찾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결론지었다.

노혜령 기자 hroh@hankyung.com